반응형
작성일: 2024년 3월 1일

 

 

 

1988년 12월 - 천안에서 서울로 가는 기차 안에서

초등학교 겨울 방학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서울시 영등포에 사는 친척집에 놀러가는 날이다.

시골에 살다보니 기차를 탈 일이 별로 없는데, 이날 기차를 타면서 담배 냄새 때문에 힘들었다.

기차 객실 차량과 차량 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담배를 피는 아저씨들이 몇몇 있었고,

이들이 피는 담배 연기와 냄새가 객실 출입문이 열릴 때마다 객실 내부로 들어왔다.

초등학교 꼬맹이가 보기에 이 모습이 많이 싫었나보다.

내가 나중에 커서 힘있는 사람이 되면, 이 세상에서 담배를 없애겠다

 

영등포역에 도착할 때까지 이런 생각을 했었다.

 

 

2001년 어느 날 - 서울시 테헤란로, 어느 고층 빌딩 사무실 내부

2001년, 나는 학교를 다니면서 주 1~2일 정도 테헤란로에 있는 잘 나가는 IT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다.

오후 6시쯤, 나는 코딩에 집중하고 있었고 어디선가 타는 냄새가 났다.

엇, 빌딩에 불이 났나? 빨리 대피해야겠다.

 

나는 이렇게 생각하면서 옆자리의 동료들과 멀리 있는 팀장님에게 

타는 냄새가 나는데 빌딩에 불이 난 것 같아요. 빨리 건물 밖으로 나가야겠어요 !

 

라고 말했다.

그런데, 팀장님이 파티션 위로 얼굴을 빼꼼히 내밀면서, 본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장님 입에 담배가 물려있었다 ㅠㅠ

나는 그때 2가지 측면에서 놀랐다.

  - 사무실에서 흡연하다니 !!!

  - 그 당시에 팀장님은 출산한지 몇달 안 된, 그리고 아기한테 수유를 하고 있는 여성 팀장이었다.

     (내가 이것을 왜 알고 있냐면, 팀장님은 쉴 때마다 휴게실에 가서 모유 수축기로 젖을 짜고 있던 것을 알고 있기에...)

 

사무실에서 흡연이 가능했던 시절 ㅠㅠ

사무실 새내기였던 나는 그런 것도 모르고, 빌딩 화재라고 대피하라고 소리를 질렀으니... ㅠㅠ

 

2002년 1월 - Manly Beach, Sydney, Austrailia

학생 때, Sydney에 어학연수 겸 여행을 갔었다.

그때 영국계 백인 가족이 사는 집에서 하숙을 했었는데, 하숙집 아저씨는 내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몰랐었다.

아마 나를 일본인으로 알고 있었던 것 같다. (가끔 나한테 일본에 관한 우호적인 얘기를 해서...)

따뜻한 햇살이 내리쬐는 주말에 그 하숙집 가족과 같이 Sydney Olympic Park로 소풍을 갔었는데,

하숙집 백인 아저씨가 자동차 트렁크에서 접이식 킥보드를 꺼내서 아들 딸 꼬맹이가 타기 좋게 사이즈 조정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킥보드가 뻑뻑하고 뭔가 원하는 대로 사이즈 조절이 안 되니까 무의식 중에 이런 말을 내뱉었다.

 "This product is probably made in Korea. ... (그리고 약간의 욕을 좀 섞어서 신경질적으로 말함~~~)"

 

내 앞에서 한국에 대한 욕을 하다니... ㅠㅠ

피가 거꾸로 솟는 느낌이었다.

이래서 외국에서 살면, 모든 사람이 애국자가 된다고 하는건가... ㅠㅠ

이렇게 투덜거리는 이 백인 아저씨 집의 DVD, Video Player, TV 등 대부분은 한국의 가전회사 LG꺼였다.

심지어 자동차에 장착된 타이어가 "Hankook Tire"였다.

이 백인 아저씨는 LG, 삼성, Hankko Tire가 한국 기업이라는 것도 모르고 있다.

이때 알았다. 외국인은 삼성, LG, 현대차가 만든 제품을 구입하면서 어느 나라의 회사가 만든 것인지 관심이 없었다.


이때, 나의 하숙집 메이트는 아르헨티나에서 온 고등학생이었다.

내가 옆에서 보이게 이 아르헨티나 학생에게 "축구"가 우주의 전부인 것처럼 보였다.

입만 열면, 축구 얘기만 한다.

나한테 물어보는 것도

"너네 나라의 유명한 축구 선수는 누구냐?"
"한국의 축구 리그는 어떠냐?"

 

이런 질문들 뿐...

이 학생과 헤어지고 10년이 흐른 뒤, "메시" 선수가 등장한 것을 보니... 아르헨티나 학생들이 왜 축구에 미쳐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래.. 너희들은 전 우주의 기운을 끌어 모아서 축구에 몰빵하는구나.
그러니까 이렇게 월드 스타가 나올 수 밖에... ^^

 

 

 

반응형

 

작성일: 2024년 2월 22일

 

함박눈이 내리는 날에 과천 서울랜드 동문주차장 또는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으로 드라이브를 가보자 !

 

도심에서 10분 정도 벗어난 길인데, 가는 길이 숲속 오솔길이라서 눈이 즐거워진다.

 

 

아래 사진보다 훨씬 실제 풍경이 좋다.

밤에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서 풍경을 잘 담을 수 없는 것이 아쉽다.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29일

 

 

혈압

높은 혈압 진단 기준

수축기/이완기 혈압  130/85mmHg 이상

해결 방안

저염식 식사

정기적인 혈압 체크

 

혈당, 당뇨

높은 혈당 진단 기준

공복혈당 100mg/dl 이상

해결 방안

스트레스 줄이기

규칙적인 식습관

운동

정기적인 혈당 측정

 

중성 지방

높은 중성지방 진단 기준

150mg/dl 이상

해결 방안

술 먹지 않기 (금주)

고열량 식품 먹지 않기

탄산음료 줄이기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21일

 

 

오늘 집에서 내 자전거의 앞 바퀴 튜브를 셀프 정비하려고 타이어를 림(Rim)에서 벗겨내고 튜브 상태를 봤더니

가위로 자른 것처럼 선명하게 튜브에 큰 구멍이 있었다.

실펑크이면, 패치를 부치고 탈 생각이었는데... 에궁.. 일이 커졌다. ㅠㅠ

여분의 튜브가 있었으면 집에서 튜브 교체까지 했을텐데, 오늘은 날이 아닌가보다.  여분의 튜브가 없다. ㅠㅠ

 

내가 사는 동네는 도심(City)와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자전거를 정비할 수 있는 샵이 없다.

자동차를 타고 평촌, 인덕원까지 갈 생각으로 바이크 정비샵 검색을 해보니 인덕원역 근처(의왕시 포일동)에 

"팍스바이시클"라는 꽤 좋은 평을 가진 샵이 있었다.

일요일에도 영업을 한다고 해서 얼른 자전거를 자동차에 싣고 팍스바이스클로 향했다.

팍스바이스클 샵에 도착해서 보니, 자전거 판매는 거의 하지 않는 듯하다.

전시된 자전거가 7대 정도 있었나 싶을 정도로 새 자전거는 별로 보이지 않았다.

자전거 정비, 자전거 분해/세차가 주종목인듯.

 

암튼, 팍스바이스클 사장님은 펑크난 16인치 튜브를 빼내고 빠른 손놀림으로 새 튜브를 장착해주었다.

림테이프도 새것으로 교체했다.

이렇게 5분 정도 작업했고, 부품비+공임 포함해서 2만원을 냈다.

16인치 튜브 교체하려면 손가락 힘이 좀 필요한데, 너무 가볍게 타이어를 림에 끼워서 살짝 놀랐다.

실력, 비용 모두 만족했다. ^^

 

또 방문할 의향이 있는 바이크 샵이다. 찜!

 

 

팍스바이시클 매장 외관(샾 바로 앞에는 자전거 전용 도로와 공원이 있음)

 

 

팍스바이시클 매장 내부 (판매보다는 정비를 목적으로 하다보니 내부에는 정비 용품이 많다)

 

 

팍스바이시클 매장 내부 (판매보다는 정비를 목적으로 하다보니 전시된 자전거가 많지는 않다)

 

인덕원역에서 700미터 떨어진 곳에 바이크샵이 있다.

 

주차 정보

주말에는 팍스바이시클 주변 점포들이 대부분 문을 닫아서 주차장이 널널한 편이다.

일단, 팍스바이시클 바로 앞 주차장에 2면이 있었고, 내가 방문했던 일요일 오후 2시쯤에는 주차장 2면 중에서 1면이 비어 있었다.

또한 근방 50미터 이내에 일요일에 휴업인 매장이 많고, 정비하는 20~30분 이내에 잠깐 주차하는 정도는 가능해보였다.

 

 

서비스/정비 요금, 매장 정보, 리뷰 등 모음

서비스/정비 요금

 

    타이어 펑크 수리(튜브 교체): 부품 + 공임 포함해서 20,000원 정도.

 

  >> 팍스바이시클 주인장 블로그 (서비스/정비 요금):  https://blog.naver.com/parksbicycle/221812174238

  >> 팍스바이시클 주인장 블로그 (영업시간, 매장위치): https://blog.naver.com/parksbicycle/222165973721

  >> 다른 블로거의 자전거 정비 샵 추천 글 : https://blog.naver.com/asdf469/222824447334

  >> 네이버 리뷰 / 지도:  https://naver.me/G7KVpOqd

 

팍스바이시클 : 네이버

방문자리뷰 58 · 블로그리뷰 161

m.place.naver.com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5일

 

 

 

고양이한테 한방 먹었다. 아파 죽겠다 ㅠㅠ

 

 

내가 식탁 앞에서 식사하고 있는데, 식탁 밑 방바닥에 있던 고양이가 갑자기 점프하면서 내 허벅지를 발톱으로 콱 찍었다.

그리고 내 허벅지 위로 바둥바둥거리면서 올라온다.

순간적으로 어찌나 아팠던지 눈물이 저절로 나오고, 내 입에서 비명소리가 났다.

발톱으로 어찌나 깊게 허벅지 살을 찍었던지 몇주가 지나도록 회복이 안 되고 점점 상처가 깊어졌다.

 

자연 치유를 포기하고,  남부터미널 역 근처 피부과 의원을 갔다.

 

30분 정도 대기하겠지 하고 느긋한 마음으로 갔는데, 웬걸 대기 환자가 1명도 없어서 접수하고 바로 원장님을 만났다.

 

환자가 없던 이유를 추정해보면,
  - 1월 첫째주라서 회사 업무가 많아서 (?)
  - 날씨가 춥고, 눈과 비가 내려서 (나도 내리는 비때문에 병원을 갈까 말까 망설였으니까 ^^)
  - 병원이 6층에 있어서 (내가 서초동에서 여러 병원을 다녀보면, 6층 이상에 있는 병원은 대기환자가 많지 않았다)

 

환자가 적어서 그런지, 원장님이 단순 감염에 의한 피부염인데도 오랜 시간동안 조명을 비추어가면서 환부를 살펴봤다.

이럴 때는 유명한 병원을 가는 것보다는 차라리 환자가 적은 평범한 동네 의원이 좋다.

 

병원에서 나와 약 먹고, 연고 바르고 대략 6시간이 지나고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데...

간지럽고 따가운 증상이 점점 줄고 있다.

일단 오늘 서초오라클피부과 치료는 만족 !!

 

 

 


 

 

오늘 회사 동료가 갔을 때는 대기 환자가 5명 있었다고 한다.

 

내가 수요일에 오라클피부과에 갔을 때는 대기 환자가 1명도 없었는데, 금요일에 간 동료는 대기 환자가 5명이 있어서 많이 기다렸다고 한다.

뭐가 달랐을까?

- 내가 병원에 간 시간은 오후 4시.  내 동료가 병원에 간 시간은 오후 12시 10분쯤.

    >> 오후 4시 이후에 가는 것이 대기 시간이 적은 것 같다.

- 날씨는 내가 갔던 날이 비와 눈이 오락가락했다.

    >> 날씨가 안 좋으면, 사람들이 피부과에 잘 안 가나보다.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5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구현 업무(코딩), Research하면서 메모하는 것 때문에
OneNote, Evernote, Notion 등을 사용해왔는데

그 동안 사용하면서 좋았던 점과 불편했던 점을 표로 정리해보겠다.

 

  Notion Evernote OneNote
내가 사용한 시간 2023년 ~ 2024년 2011년 ~ 2023년 2011년 ~ 2024년
좋았던 점 무료 !!!

코드 작성하고, Code snippet을 메모하는 입장에서는 Evernote와 비슷하지만 무한정 무료라서 좋다.

Markdown
포맷이 지원되니까 좋다.
그냥 무난하다.
남들 다 쓰니까 Note 공유하기 편하다.

(카톡처럼 전 국민이 다 사용하니까 메시지 보내기 편한 것처럼... 그런 느낌적인 느낌)
이미 겁나게 돈이 많은 MS이고,
OneNote 외에도 Office 제품 전체가 실시간 동기화 되니까, 웬지 좋아보인다. (그냥 내 마음이 그렇다는 거...)
불편했던 점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는 사람,
특히 코드 작성이 주 업무인 SW 개발자에게는 필요없는 예제 페이지와 템플릿이 겁나게 많아서 오히려 혼란스럽게 보인다.

단, 샘플 페이지를 다 지우고
Markdown format으로 페이지를 작성하기 시작하면서 마음의 평화가 생겼다. ^^
무료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경우
유료로 전환하라는 알림창이 뜨면서 CPU 사용량이 갑자기 올라고 맥북이 뜨거워지는 현상 발생.
일부러, 유료 전화하도록 하기 위해 이런 CPU 사용률을 올리는 꼼수를 쓴 듯하다.
---
위와 같은 불편함은 유료로 전환하면 없어지는 현상.
메모 서식이 제멋대로.
메모를 하다보면, 중간에 서식이 바뀐다. ㅡㅡ;

Code snippet을 붙일 수 없다.
(내 경우, 이것이 제일 불편했다)
비용 무료 1년 99,000원을 써야 불편함 없이 쓸 수 있다.
무료는 에버노트앱이 중간중간에 정말 사람을 귀찮게 한다.
무료
그래서 나에게 맞았던 앱은? 내가 원하는 노트앱.
개발자라면, 만족하면서 쓸 듯!
기능은 좋은데, 비용 부담이 있다. 개발자가 제일 필요로 하는
Code snippet 붙여넣기, Markdown이 안 되니까 못 쓰겠다.

 

 

나는 위 3가지 노트 앱을 전부 사용하고 있었지만, 일주일 전에 에버노트 앱은 맥북과 스마트폰에서 모두 삭제했다.

 

에버노트야, 잘 가라 !

 


 

반응형
작성일: 2025년 3월 16일

 

 

 

원하는 전원 주택 지역에서 월세로 2년을 살아보기

전원 주택에 관한 리뷰 자료(경험담)을 찾아보면, 우선 '원하는 지역의 전원 주택 월세'를 계약해서 살아보라고 한다.

왜냐하면, 2년 정도 살다보면 '내가 전원 생활에 적응 가능한지'를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단다.

전원 주택 경함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봄/여름/가을/겨울 중에서 '여름/겨울'을 보내기 힘들어 한다고 한다.

 

전원 주택에서 여름을 보내기 힘든 이유

- 모기, 파리, 날파리, 나방 등 수천 마리의 벌레가 집 주변을 날라다닌다. 산책을 하기 힘들정도로 벌레가 많다.

- 집 주면 마당에 풀이 정글처럼 자란다.

- 집 현관 문만 열고 나가도 '뱀'이 있다.

 

전원 주택에서 겨울을 보내기 힘든 이유

집을 비우는 날도 계속 보일러를 돌려야 한다.

동파 사고가 발생한다.

 

 

땅을 구입할 때 주의할 점

맹지인지 확인해야 한다.

주택 건설을 위해 20톤 트럭, 굴삭기 등 중장비가 택지로 진입해야 하는데, 내 땅의 진입로라고 생각했던 도로가 타인의 토지인 경우 내 땅은 쓸모없는 땅이 된다.

이런 경우에는 주택 건설은 안 되고, 양파나 심어서 잘 키워야 한다. ㅠㅠ

 

 

 

풀하우스

주소: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양기리 332-28

https://www.youtube.com/watch?v=t8rNYadsVAU

 

 

 

반응형

 


작성일: 2025년 3월 14일

 

 

수백 페이지 분량의 PDF 문서를 읽다보면, 특정 페이지 몇 장만 골라서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다.

PDF 편집기 같은 유료 프로그램이 있다면, 원하는대로 편집해서 저장할 수 있지만

돈을 지출하지 않고 PDF 문서에서 몇 페이지만 추출하여 저장하고 싶다면,

인쇄 버튼을 누르고 추출하고 싶은 페이지 번호만 입력하고, PDF 문서로 출력하기를 선택하면 된다.

 

내 느낌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PDF 문서를 "PDF 문서로 저장"하면 약간 품질이 떨어지는 것 같다. ^^

 

 

또 다른 방법: Python script로 특정 페이지만 골라서 새 PDF 파일에 저장하기

아래의 python script를 실행하면 된다.

import PyPDF2

with open("origin.pdf", "rb") as origin_pdf_file:
    pdf_reader = PyPDF2.PdfReader(origin_pdf_file)
    pdf_writer = PyPDF2.PdfWriter()
    ## 아래 코드 중에 '1, 3, 5' 부분을 본인이 추출하기를 원하는 페이지 번호로 지정할 것!
    for page_num in [1, 3, 5]:  # 추출할 페이지 번호 (0부터 시작)
        page = pdf_reader.pages[page_num]
        pdf_writer.add_page(page)

    with open("new.pdf", "wb") as new_pdf:
        pdf_writer.write(new_pdf)

 

 

아래와 같이 명령을 실행한다.

$ pip3 install PyPDF2

$ python3 pdf-extract.py

 

위 명령을 실행하고 나면, 'new.pdf' 파일이 생성될 것이고

이   'new.pdf' 파일을 PDF Reader로 열어서 확인해보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