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5월 14일
서버 장비들은 항온/항습이 되는 장비실에 있고 Keyboard, Mouse 그리고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서버를 관리할 때 Keyboard, Mouse, Monitor(Display) 장치들을 세트로 들고 다니면서 서버에 연결하곤 하는데,
이렇게 서버 콘솔에 접근할 때마다 Keyboard, Mouse, Monitor를 들고 다니는 일이 귀차니즘을 불러일으킨다. ㅠㅠ
물론 돈 많은 회사는 Rack 마다 비싼 KVM 장비를 붙여주거나 HP DL380 장비처럼 iLO 기능이 있어서 IP network을 통해서 원격 제어가 쉽다.
(즉, OS 부팅이 안 된 상태에서 서버 장비를 관리할 수 있음. BIOS 설정이나 OS 부팅/셧다운 같은 제어가 가능)
돈을 아껴야 하는 회사는 위와 같은 호사를 누릴 수 없다. ㅠㅠ
그래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발견한 것이 Sipeed라는 회사가 팔고 있는 nanoKVM이라는 제품을 발견했다.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nanoKVM Cube'라는 이름으로 검색해야 함)
위 제품을 구입하고 며칠 사용해봤는데, KVM Software 설치 절차가 쉽고 운영하는 절차가 간단했다.
USB 전원, USB 키보드/마우스 에뮬레이션 케이블 연결하고
서버 장비의 HDMI Output 신호만 nanoKVM 보드가 받을 수 있게 연결해주고,
인터넷이 되는 Ethernet Cable만 연결해주면 끝이다.
단, DHCP Server가 있어야 nanoKVM이 IP Network 설정이 되므로, DHCP Server 구성만 추가로 해주면 된다.
참고로 nanoKVM의 IP address는 DHCP server의 log 파일을 보면 알아낼 수 있다.
만약 DHCP server의 log를 열람했는데, 어떤 IP address인지 추정하기 어렵다면 log file에 찍힌 여러 MAC address를 Vendor lookup해보고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s://macaddress.io/ 웹 사이트에서 MAC address를 검색해본다.
아래 결과처럼, "Sipeed Tech Co, Ltd" 회사 이름이 나오면 이 MAC address에 매핑된 IP address가 nanoKVM의 IP address라고 추정할 수 있다.
참고하면 좋을 글
NanoKVM 이용기(이용 후기): (링크)
NanoKVM 공식 웹 사이트: (링크)
NanoKVM GitHub: (링크)
'IT Gene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NY75 먹통 현상(벽돌 현상) 해결하기 (2) | 2025.05.09 |
---|---|
자체 Wiki Server 구축 (Self-hosted Wiki server) (0) | 2025.02.17 |
오픈소스 라이선스(라이센스) 가이드 - BSD, Apache, GPL, MPL, EPL (0) | 2025.01.11 |
Download Linux Kernel Source Code from GitHub - Git Clone (0) | 2025.01.10 |
eBPF 스터디 자료 (eBook, PDF)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