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6일

 

전세계의 국가별로 할당된 IP Address에 대한 전체 목록을 볼 수 있다.

아래 IANA IP blocks 파일을 열람하면 된다.

 

IANA 표준 기관 공식 자료

https://github.com/HotCakeX/Official-IANA-IP-blocks

 

GitHub - HotCakeX/Official-IANA-IP-blocks: Official-IANA-IP-blocks for each country | IPV4 and IPV6 | TEXT | CSV | JSON

Official-IANA-IP-blocks for each country | IPV4 and IPV6 | TEXT | CSV | JSON - GitHub - HotCakeX/Official-IANA-IP-blocks: Official-IANA-IP-blocks for each country | IPV4 and IPV6 | TEXT | CSV | JSON

github.com

 

 

IPv4 주소 (CSV 파일)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tCakeX/Official-IANA-IP-blocks/main/CSV/global_ipv4.csv

 

 

테러 지원국과 관련된 IP address 리스트

https://github.com/HotCakeX/Official-IANA-IP-blocks/blob/main/Curated-Lists/StateSponsorsOfTerrorism.txt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5일

 

 

 

고양이한테 한방 먹었다. 아파 죽겠다 ㅠㅠ

 

 

내가 식탁 앞에서 식사하고 있는데, 식탁 밑 방바닥에 있던 고양이가 갑자기 점프하면서 내 허벅지를 발톱으로 콱 찍었다.

그리고 내 허벅지 위로 바둥바둥거리면서 올라온다.

순간적으로 어찌나 아팠던지 눈물이 저절로 나오고, 내 입에서 비명소리가 났다.

발톱으로 어찌나 깊게 허벅지 살을 찍었던지 몇주가 지나도록 회복이 안 되고 점점 상처가 깊어졌다.

 

자연 치유를 포기하고,  남부터미널 역 근처 피부과 의원을 갔다.

 

30분 정도 대기하겠지 하고 느긋한 마음으로 갔는데, 웬걸 대기 환자가 1명도 없어서 접수하고 바로 원장님을 만났다.

 

환자가 없던 이유를 추정해보면,
  - 1월 첫째주라서 회사 업무가 많아서 (?)
  - 날씨가 춥고, 눈과 비가 내려서 (나도 내리는 비때문에 병원을 갈까 말까 망설였으니까 ^^)
  - 병원이 6층에 있어서 (내가 서초동에서 여러 병원을 다녀보면, 6층 이상에 있는 병원은 대기환자가 많지 않았다)

 

환자가 적어서 그런지, 원장님이 단순 감염에 의한 피부염인데도 오랜 시간동안 조명을 비추어가면서 환부를 살펴봤다.

이럴 때는 유명한 병원을 가는 것보다는 차라리 환자가 적은 평범한 동네 의원이 좋다.

 

병원에서 나와 약 먹고, 연고 바르고 대략 6시간이 지나고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데...

간지럽고 따가운 증상이 점점 줄고 있다.

일단 오늘 서초오라클피부과 치료는 만족 !!

 

 

 


 

 

오늘 회사 동료가 갔을 때는 대기 환자가 5명 있었다고 한다.

 

내가 수요일에 오라클피부과에 갔을 때는 대기 환자가 1명도 없었는데, 금요일에 간 동료는 대기 환자가 5명이 있어서 많이 기다렸다고 한다.

뭐가 달랐을까?

- 내가 병원에 간 시간은 오후 4시.  내 동료가 병원에 간 시간은 오후 12시 10분쯤.

    >> 오후 4시 이후에 가는 것이 대기 시간이 적은 것 같다.

- 날씨는 내가 갔던 날이 비와 눈이 오락가락했다.

    >> 날씨가 안 좋으면, 사람들이 피부과에 잘 안 가나보다.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5일

 

업무 때문에 CISCO 회사의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할 때, 이 회사의 이름이 왜 CISCO인지 궁금했었다.

그래서 회사 이름에 관한 유래를 찾아봤다.

뭔가 거창한 뜻이 있는 줄 알았는데,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도시 이름의 뒷 부분을 따와서 회사 이름으로 만든 것이다.

그래서 회사 상징 로고가 금문교(Golden Gate Bridge)와 닮았던 것이군.

 

CISCO 창업자가 부부라는 것도 특이한 점이다.

  - 여: Sandy Lerner

  - 남: Len Bosack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금문교

 

CISCO Logo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5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구현 업무(코딩), Research하면서 메모하는 것 때문에
OneNote, Evernote, Notion 등을 사용해왔는데

그 동안 사용하면서 좋았던 점과 불편했던 점을 표로 정리해보겠다.

 

  Notion Evernote OneNote
내가 사용한 시간 2023년 ~ 2024년 2011년 ~ 2023년 2011년 ~ 2024년
좋았던 점 무료 !!!

코드 작성하고, Code snippet을 메모하는 입장에서는 Evernote와 비슷하지만 무한정 무료라서 좋다.

Markdown
포맷이 지원되니까 좋다.
그냥 무난하다.
남들 다 쓰니까 Note 공유하기 편하다.

(카톡처럼 전 국민이 다 사용하니까 메시지 보내기 편한 것처럼... 그런 느낌적인 느낌)
이미 겁나게 돈이 많은 MS이고,
OneNote 외에도 Office 제품 전체가 실시간 동기화 되니까, 웬지 좋아보인다. (그냥 내 마음이 그렇다는 거...)
불편했던 점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는 사람,
특히 코드 작성이 주 업무인 SW 개발자에게는 필요없는 예제 페이지와 템플릿이 겁나게 많아서 오히려 혼란스럽게 보인다.

단, 샘플 페이지를 다 지우고
Markdown format으로 페이지를 작성하기 시작하면서 마음의 평화가 생겼다. ^^
무료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경우
유료로 전환하라는 알림창이 뜨면서 CPU 사용량이 갑자기 올라고 맥북이 뜨거워지는 현상 발생.
일부러, 유료 전화하도록 하기 위해 이런 CPU 사용률을 올리는 꼼수를 쓴 듯하다.
---
위와 같은 불편함은 유료로 전환하면 없어지는 현상.
메모 서식이 제멋대로.
메모를 하다보면, 중간에 서식이 바뀐다. ㅡㅡ;

Code snippet을 붙일 수 없다.
(내 경우, 이것이 제일 불편했다)
비용 무료 1년 99,000원을 써야 불편함 없이 쓸 수 있다.
무료는 에버노트앱이 중간중간에 정말 사람을 귀찮게 한다.
무료
그래서 나에게 맞았던 앱은? 내가 원하는 노트앱.
개발자라면, 만족하면서 쓸 듯!
기능은 좋은데, 비용 부담이 있다. 개발자가 제일 필요로 하는
Code snippet 붙여넣기, Markdown이 안 되니까 못 쓰겠다.

 

 

나는 위 3가지 노트 앱을 전부 사용하고 있었지만, 일주일 전에 에버노트 앱은 맥북과 스마트폰에서 모두 삭제했다.

 

에버노트야, 잘 가라 !

 


 

반응형

 

작성일: 2024년 2월 21일

 

PPTP, L2TP 같은 터널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방화벽 건너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일이 발생하면, SSH Port Forwarding을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

물론 전제 조건이 있다.

  - SSH 접속할 수 있도록 방화벽 허용 규칙
     또는
  - DNAT Rule
     또는
  - 공유기의 Port Forward Rule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즉, 원격 Network에 SSH 접속 만큼은 가능한 환경이라는 가정하에 아래 설명을 봐야 한다.

간단하게 한번 훑어보고 실습 환경으로 가보자.

 

SSH Tunneling에는 3가지가 있다.

  - Local Port Forwarding (Local Tunneling)

  - Remote Port Forwarding

  - Dynamic Port Forwarding

 

각 Tunneling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접속할 대상 Network의 SSH 서버의 설정을 수정해야 한다.

SSH Server Config 설정

$ sudo -s

$ vim /etc/ssh/sshd_config

... 중간 생략 ...
AllowTcpForwarding yes     # <-- yes로 변경
GatewayPorts yes           # <-- yes로 변경
... 중간 생략 ...

$ systemctl restart sshd

 

 

준비 작업 끝 !

예시를 들어서, Local Tunneling에 관해서 설명해보면 이렇다.

 

SSH Local Port Forwarding (Local Tunneling)

아래 그림과 같이 집에 있는 내 맥북 PC에서 회사에 있는 VNC 서버에 접근해보겠다.

 

SSH 터널링 (Local Port Forwarding 방식)

 

위 네트워크 구성도를 참고하여 내 PC(맥북)에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한다.

(위 구성도와 아래 명령에 있는 IP Address 값을 매핑해서 보면, 아래 명령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ssh  -L 5900:10.1.1.3:5900  root@10.1.1.2

 

그리고 내 PC(맥북)에서 RealVNC Viewer 또는 TigerVNC Viewer에 새 연결 정보를 설정해야 하는데,

주소를 localhost (또는 127.0.0.1)으로 입력해야 한다. (아래 화면을 참고)

 

 

위와 같이 VNC Server의 주소를 설정하고, 접속 버튼을 누르면 

VNC 접속 요청 트래픽은 아래 순서로 흘러간다.

 

  1)  내 맥북 PC VNC Client

  2)  localhost의 ssh client (192.168.1.5:5900)

  3)  사무실의 ssh server (10.1.1.2)

  4)  VNC Server (10.1.1.3:5900)

 

원하는 VNC 접속 성공 !!

 

 


 

 

SSH Remote Port Forwarding

이번에는 완전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사무실 쪽에서 SSH 서버 접속을 허용하지 않아서 Local Tunneling이 안 되는 경우라면, 

사무실에 있는 누군가(나의 친한 동료)가 내 집에 있는 내 맥북에 SSH Tunneling을 요청해주어야 한다.

물론 내 맥북이 Public network에 노출되어야 한다.

이런 방식을 Remote Tunneling이라고 한다. 

 

SSH 터널링 (Remote Port Forwarding 방식)

 

사무실에서 나의 동료가 회사 Linux 서버에서 아래와 명령을 실행해준다.

$  ssh  -R  34343:10.1.1.2:5900  sejong@192.168.1.5 -p 20022

 

그러면 위 명령 때문에 내 맥북 PC에는 TCP Listening port 34343가 생성된다.

## 집에 있는 내 맥북 PC에서 명령을 실행한 결과

$  netstat -anp | grep LISTEN
... 중간 생략 ...
tcp    0    0 0.0.0.0:34343       0.0.0.0:*         LISTEN      -
... 중간 생략 ...

 

이제 내 맥북에서 VNC Viewer를 이용해서 아래 화면과 같이 설정하고 회사 Network로 접속해보자.

VNC Server 주소는 localhost 또는 127.0.0.1 으로 설정하면 된다.

 

위와 같이 VNC Server의 주소를 설정하고, 접속 버튼을 누르면

VNC 접속 요청 트래픽은 아래 순서로 흘러간다.

 

  1)  내 맥북 PC VNC Client

  2)  localhost의 ssh client (192.168.1.5:5900)

  3)  사무실의 ssh server (10.1.1.2)

  4)  VNC Server (10.1.1.3:5900)

 

원하는 VNC 접속 성공 !!

 

 


 

반응형

테스트 날짜, 작성일 : 2023년 12월 22일
테스트한 OS 버전: Raspbian 12 (bookworm)

 

 

Raspberry Pi 4, Pi 5를 사용하면서 Pi 3와 다른 점이 몇 가지 있는데, VNC가 다른 것 중에 하나이다.

 

VNC Server 설치, 설정

Pi 4, Pi 5에서 VNC Server는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 라즈베리 파이 환경설정 ] 화면에서 [ VNC ]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작업만 하면 된다.

 

 

VNC Client(Viewer) 설치

이것저것 VNC Client를 다 테스트해봤는데, RealVNC Viewer만 정상 동작하고 나머지 VNC Client 들은 몇 가지 기능들이 오동작하는 이슈가 있었다.

따라서 RealVNC Viewer를 설치해서 사용하길 추천한다.

RealVNC Viewer 설치, 설정 절차는 너무 간단해서 설명을 생략~

 


 

반응형

 


 

테스트 날짜, 작성일 : 2023년 12월 20일
테스트한 OS 버전: Raspbian 12 (bookworm), Debian GNU/Linux 12

 

대부분 인터넷에서 검색된 설명을 따라서 설정해보면, 마우스 스크롤 방향이 macOS처럼 바뀌지 않았다.

아마 Raspbian OS 버전 11 이전까지는 잘 동작했으나, 버전 12(bookworm)부터는 기존의 설정 방법으로는 마우스 스크롤 방향을 바꿀 수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이것저것 해보고 알아낸 방법이 이것이다.

 

라즈베리 파이의 마우스 스크롤 방향을 macOS의 마우스처럼 바꾸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 파일에 한 줄만 추가하면 된다.

 $ cat ~/.config/wayfire.ini
... 중간 생략 ...
[input]
xkb_options=
xkb_model=pc105
xkb_layout=us
xkb_variant=
left_handed_mode=true
natural_scroll=true           # <-- 이 내용을 추가한다.

$

 

위와 같이 설정 파일을 편집하고, Raspbian OS를 reboot 하고 마우스의 스크롤 방향이 바뀌었는지 확인한다.

Raspbian(Debian Linux 12, Bookwork)에서 테스트해보았고, macOS의 마우스처럼 스크롤 방향이 변경되었다.

 


 

반응형

 


 

작성일: 2023년 12월 14일

 

 

오늘 Raspberry Pi 5를 구입하고, Raspbian OS(Bookworm)를 설치하고

1시간 정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방치했는데, 쿨링팬이 멈추지 않고 계속 돌고 있다.

상온에서 놀고 있는 장치가 열 받을 일이 뭐가 있다고 쿨링팬이 계속 돌까?

 

일단, CPU 온도를 확인해보까 이렇다.

$ echo $(( $(cat /sys/class/thermal/thermal_zone0/temp) / 1000 ))
49
$

 

 

그리고 이 상태에서 Cooling Fan의 회전 속도(RPM)를 확인해보니까 이렇다.

$   watch  'cat /sys/devices/platform/cooling_fan/hwmon/hwmon2/fan1_input'
1874

 

 

위 명령을 스크립트로 합쳐 놓고, 5초 마다 돌려보자 !

$ vi monitor_fan.sh

#!/bin/bash

function my_monitor() {
    my_temp=$(cat /sys/class/thermal/thermal_zone0/temp)
    my_temp2=$(( $my_temp/1000 ))
    fan_speed=$(cat /sys/devices/platform/cooling_fan/hwmon/hwmon2/fan1_input)
    echo "온도: $my_temp2    팬 속도: $fan_speed"
}

my_monitor


$ watch  -n 5  ./monitor_fan.sh

매 5.0초:   ./monitor_fan.sh                     raspberrypi: Thu Dec 14 17:53:49 2023

온도: 49    팬 속도: 1874

... 이하 생략 ...

 

 


TODO:  아직 Fan Speed를 제어하는 방법을 못 찾았다. 만약 제어 방법을 찾으면 추가로 작성할 계획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