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4월 5일
Canonical Ubuntu는 OpenStack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sunbeam이라는 관리 도구(Utility App)을 제공한다.
아래 Tutorial 문서를 보면서, 명령을 몇줄만 입력하면 쉽게 OpenStack cluster가 구축된다.
아래 3개의 문서는 같은 내용을 다룬다.
그 중에서 'MicroStack' 문서는 다른 2개의 문서보다 세분화해서 설명해준다.
따라서 빠르게 설치할 때는 'Install OpenStack yoursel' 문서를 보고,
깊게 스터디하기 위해서는 'MicroStack' 문서를 보는 것을 추천한다.
[ 문서 제목: Install OpenStack and launch your first instance ]
[ 문서 제목: Install OpenStack yourself ]
https://ubuntu.com/openstack/install#single-multi-large-cluster
[ 문서 제목: MicroStack ]
https://canonical.com/microstack/docs
Q & A
Using the OpenStack CLI
https://discourse.ubuntu.com/t/using-the-openstack-cli/36231
Accessing the OpenStack dashboard
https://discourse.ubuntu.com/t/accessing-the-openstack-dashboard/36232
$ sunbeam dashboard-url http://10.20.20.2:80/openstack-horizon
외부에서 Web dashboard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socat 명령 도구를 사용해야 함.
## Web dashboard 접속 정보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하면, ## 내부 네트워크 주소 http://10.20.20.2:80/openstack-horizon ## 외부에서 접속하려는 주소 http://211.11.22.33:30080/openstack-horizon ## 위와 같은 상황이라면, 아래와 같이 포트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 socat -v tcp-listen:30080,fork tcp:172.16.1.12:80
sunbeam 사용시 주의할 점
sunbeam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알아야 할 점이 있다.
OpenStack cluster 구축의 복잡함을 줄이기 위해서 sunbeam은 kubernetes cluster에 Pod & Service 리소스 형태로 제공한다.
이렇기 때문에 sunbeam으로 OpenStack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축 완료 후,
controller node, worker node를 조회하려고 하거나 network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실제로 controller node, worker node와 network interface가 있는 것이 아니라 Kubernetes cluster 내부의 Pod 및 Service 리소스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OpenStack 구조를 탐색하기가 어렵다.
빠르게 OpenStack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해보고, VM Instance를 생성해보는 정도의 테스트만으로 sunbea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