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ternet web page를 돌아다니다가 예쁘게 Image를 내 PPT 문서에 넣으려고 보면, SVG 파일이라서 PPT 문서에 인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convert 명령이나 rsvg-convert 명령을 이용하면 SVG file을 JPG나 PNG 파일로 쉽게 바꿀 수 있다.

 

## image converting program 설치하기
$  brew install  imagemagick librsvg

## SVG file을 PNG 파일로 변환하기
##  (참고: -z 3.0은 3배 Zoom해서 PNG 파일로 변화하라는 뜻)
$  rsvg-convert -z 3.0 -f png origin_img.svg  -o output_img.png

 

반응형

나는 MacBook M1에서 Paralelles를 이용해서 Windows 11를 사용하고 있다.

지금껏 사용하면서 큰 불편을 못 느꼈지만, 가끔 Internet Explorer만 지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는 옛날의 Windows 11 + Internet Explorer 조합이 필요했다.

 

그러다가 오늘, Windows 11의 Edge Browser에서도 Internet Explorer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Windows 11에서 Internet Explorer 옵션 화면 실행 방법

 

귀찮더라도 아래와 같이 타이핑을 좀 해야 한다.

  • [Windows + R]을 타이핑하고, 아래와 같은 창을 띄운다.
  • 그리고 'inetcpl.cpl'이라고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Windows 명령어 입력 창

 

 

  • 그러면 아래와 같은 Internet Explorer 속성 설정 화면이 열린다.

 

Internet Explorer 속성, Option 화면

 

이후 부터는 예전에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사용했던 것처럼 동일하게 설정하고, 

그런 후에 Edge 브라우저를 다시 시작하면, Edge 브라우저에서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처럼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아마 대부분 '보안'과 관련한 설정 때문에 웹 사이트 접속에 못 했을텐데, 아래 화면처럼 보안 수준을 '최소'로 낮추고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된다.

 

Internet Explorer 보안 설정

 

접속하지 못 했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어서 편하긴 한데, 근본적으로 웹 사이트 개발하는 사람이 표준을 지켜서 잘 개발해주면 더 좋을 듯 :)

 

 

Edge 브라우저에서 한글 깨지는 현상 해결하기

 

참고로, 위와 같이 설정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했는데 웹 페이지의 한글이 깨져서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럴 때는 아래와 같이 언어 설정을 확인해보면 된다.

 

1)  [설정] 화면에서 [언어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Windows 11의 언어 설정

 

2)  [언어 및 지역] 화면에서 [기본 언어 설정]을 선택한다.

 

Windows 11의 기본 언어 설정

 

3)  [국가 또는 지역] 화면에서 [시스템 로캘 변경] 버튼을 클릭한다.

 

국가 또는 지역 설정 화면

 

4)  [지역 설정] 화면에서 '한국어(대한민국)'을 선택하고, 'Beta: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8 사용' 항목을 해제한다.

 

시스템 로케일 설정 화면

 

 

 

Reference

 

https://www.softwareok.com/?seite=faq-Windows-11&faq=39 

 

 

Open Internet Options in Windows 11

Open Internet Options in Windows 11! Even if Internet Explorer is not included in Windows 11, the Internet options that were to be found in IE are available! The old IE settings are not only valid for Internet Explorer, even Chrome, Edge, and Firefox, ....

www.softwareok.com

 

반응형

 

vi 또는 vim editor를 사용하다보면, 한글이 아래와 같이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vim editor 한글 깨짐 현상

 

 

이럴 때는 .vimrc 파일에 아래와 같이 2줄을 추가해준다.

 

set encoding=utf-8
set fileencodings=utf-8,euc-kr,cp949

 

 

.vimrc 파일을 저장하고 닫은 다음에 다시 vi 편집기로 한글을 작성해보면, 아래처럼 한글이 깨지지 않고 잘 보인다.

 

vim editor 한글 깨짐 해결

 

반응형

 

작성일: 2024년 4월 29일

 

 

Keychron C1 키보드를 구입한지 3년이 지났다.

그 전에는 "Apple.com"에서 주문한 12만원짜리 Magic Keyboard(2021년형)을 사용했다.

두 제품의 타건감 차이는 극과 극이다.

이미 나는 기계식 키보드에 길들여져서인지, Magic Keyboard(매직 키보드)에 적응하지 못했다.

그리고 일반 기계식 키보드는 자판 배열이 맥북과 달라서 싫었다.

맥북과 자판 배열이 같고, 기계식 키보드(적축, 갈축 등)를 찾다보니 Keychron 제품이 눈에 들어왔다.

 

Keychron 제품에 관해서 궁금하다면 아래 웹 사이트를 방문하시길~~~

  https://keychron.kr 

 

 

간략하게 이 회사에 대해 설명하면;

 

Keychron은 2017년에 키보드 제조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키보드 애호가 그룹에 의해 설립.

이 애호가 그룹은 디자이너, 마케터 및 생산 전문가로 구성됨.

핵심 팀원:

  - Will Ye: 키보드 생산 및 관련 비즈니스에서 9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음

  - Sven Zhu: 산업 디자인에서 10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음

이 회사는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가장 정교한 기계식 키보드를 만드는 것에 주력.

회사 주소: 

  • France Office:          1, Esplanade Miriam Makeba, 69100 Villeurbanne, France
  • Hong Kong Office:  13/F, Prosper Commercial Bldg., 9 Yin Chong Street, Kowloon, Hong Kong

 


키크론 키보드 타건샵

keychron.kr 홈페이지에 전국의 타건샵이 소개되어 있다.

서울, 경기도 쪽만 보면 아래 타겁샵이 있다.

 

  • 일렉트로마트 스타필드 수원점 (*) <-- 키크론 키보드 종류별로 있음. 데모 마우스 제품도 많음.
  • 일렉트로마트 스타필드 하남점 (*)
  • ---
  • 일렉트로마트 이마트 평촌점
  • 일렉트로마트 이마트 왕십리점
  • 일렉트로마트 이마트 영등포점
  • 일렉트로마트 이마트 성남점
  • ---
  • 일렉트로마트 오산점
  • 일렉트로마트 킨텍스점
  • 일렉트로마트 마포점
  • 더현대 서울 솔플레이점

 


사용 후기(리뷰)

나는 10년 전부터 5만원 대, 10만원 대, 20만원 대 기계식 키보드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도 사무실, 집에서 쓰고 있는 기계식 키보드는 4 종류이다.

그렇다면, 키크론(Keychron)에 대한 나의 평가는?

나의 답변: 만족한다!

 

기계식 키보드의 스위치 종류(제조사, 브랜드, 적/갈/흑/청축)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 좋다, 고급지다, 저급하다 ]와 같은 평가를 하기는 거시기하고, 두루뭉술하게 키크론 키보드를 평가한다면 무난하게 평범한 기계식 키보드이다.

 

나는 Keychron Keyboard에 만족해서 우선 사무실에서 1개 구입하고, 1주일 후에 집에서 사용할 Keyboard를 한 개 더 구입했다.

지금은 사무실, 집에서 모두 Keychron Keyboard만 사용한다. (모두 적축으로 구입했음)

 

구입하고, 며칠 지난 후에 다시 Keychron Web site에 접속해보니, 레트로 버전을 새롭게 올렸던데... 솔직히 내 눈에는 레트로 키보드가 더 예뻐보인다.  한 달만 더 참았다 구입할껄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주 솔직한 Keychron에 대한 내 생각은;

2021년 여름까지만 해도 비싸다는 인식만 있고, 품질이나 타건감은 5~10만원 정도의 기계식 키보드 수준이었다.

Apple 오프라인 매장에서 샘플 키보드를 사용해봐도, 이 정도의 키보드를 10만원 넘는 비용을 지불하면서 구입한다는 것은 미련한 짓이라 생각했는데...

2021년 가을부터 생각이 바뀌었다. 가격은 내려갔고, 품질은 더 좋아졌다. 특히 적축은 꽤 만족도가 높은 수준까지 왔다.

제품 가격을 생각해봐도 1년 전처럼 부담스럽지 않게 가격이 내려왔으니까, 주변 동료들이 구입한다고 하면... "추천!!!" 한다~~

반응형

Mac, Ubuntu, CentOS에서 Terminal을 사용하다보면, 알록달록 Color가 들어간 Text를 보게 된다.

이렇게 색이 들어간 글자를 만들려면, ANSI escape code라는 표준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ANSI escape code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의 끝 부분에 있는 Reference Web Docs를 보길~~~

 

간단하게 터미널의 글자에 색을 넣는 방법만 보면 아래와 같다.

 

Mac iTerm2 터미널에 글자 컬러 넣기

 

 

ANSI escape code 확인하는 C source code

각 ANSI code가 어떤 color, font, effect를 보여주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짧게 코드를 작성해서 돌려보면 바로 감(느낌)을 찾을 수 있다.

##
## File name:  main.c
##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n;

  for (i = 0; i < 11; i++) {
    for (j = 0; j < 10; j++) {
      n = 10*i + j;
      if (n > 108) break;
      printf("\033[%dm %3d\033[m", n, n);
    }
    printf("\n");
  }
  return 0;
}

 

위 C source code를 작성하고, 아래와 같이 gcc 명령으로 compile하고 실행해보면, 각 ANSI code의 숫자가 어떤 색을 표현하는지 알 수 있다.

 

ANSI escape code 확인하는 Python source code

각 ANSI code가 어떤 color, font, effect를 보여주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짧게 코드를 작성해서 돌려보면 바로 감(느낌)을 찾을 수 있다.

##
## File name:  main.py
##

import sys
for i in range(0, 16):
    for j in range(0, 16):
        code = str(i * 16 + j)
        sys.stdout.write(u"\u001b[38;5;" + code + "m " + code.ljust(4))
    print u"\u001b[0m"

 

위 Python source code를 작성하고, 아래와 같이 실행해보면, 각 ANSI code의 숫자가 어떤 색을 표현하는지 알 수 있다.

 

 

 

import sys
for i in range(0, 16):
    for j in range(0, 16):
        code = str(i * 16 + j)
        sys.stdout.write(u"\u001b[48;5;" + code + "m " + code.ljust(4))
    print u"\u001b[0m"

 

 

 

 

ANSI escape code의 역사, 표준 정보, Example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Reference Web Docs를 참고하길 ~~~

 

Reference

 

ANSI escape cod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ethod used for display options on video text terminals ANSI escape sequences are a standard for in-band signaling to control cursor location, color, font styling, and other options on

en.wikipedia.org

 

 

ASCII Art Archive

A large collection of ASCII art drawings and other related ASCII art pictures.

www.asciiart.eu

 

※ 아래 Web Docs는 CLI 만들기에 필요한 다양한 Trick과 Tip이 있다.

※ CLI에 Progress Bar, Processing Status, Percentile 등 효과를 넣고 싶다면 아래 Web Docs를 참고할 것 !!!

 

Build your own Command Line with ANSI escape codes

Build your own Command Line with ANSI escape codes Everyone is used to programs printing out output in a terminal that scrolls as new text appears, but that's not all your can do: your program can color your text, move the cursor up, down, left or right, o

www.lihaoyi.com

 

반응형

Mac OS의 iTerm2 터미널에서 한글 파일명을 작성하면, 아래 화면처럼 음소(자음, 모음)가 분리되면서 깨져 보이는 현상이 있다.

(자음, 모음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이 분리되는 현상)

iterm2 설치 후,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고 기본 설정을 사용하면 이렇게 한글이 깨져 보인다.

한글 초성, 중성, 종성이 모두 분리되서 출력된다.

 

이 때,  iTerm2의 설정 화면을 보면 아래 화면처럼 [Unicode normalization form] 항목이 NFD로 되어 있을 것이다.

 

iTerm2 App의 [Preferences] / [Text] 설정

 

NFD를 다른 값으로 설정하면, 한글이 정상 모양으로 잘 출력된다. (아래 그림을 참고)

내 Macbook의 경우에는 [None, NFC, HFS+] 중에서 아무거나 선택해도 효과는 동일하게 잘 동작했다.

그런데, 다른 Mac User 중에서는  NFC만 잘 된다고 하는 User도 있는 걸로 봐서, 찜찜하면 NFC로 설정하는 것이 좋을 듯!!

 

iTerm2 App의 [Preferences] / [Text] 설정

 

한글 초성, 중성, 종성이 합쳐져서 보여진다.

 

Unicode normalization form을 NFD에서 NFC로 설정해서 잘 동작하니까 좋긴 한데, NFD, NFC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NFD, NFC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Web Docs를 참고하길 ~~~

 

Reference

 

 

유니코드 정규화(Unicode Normalization Form) 문제

 

www.hungrydiver.co.kr

 

반응형

 


작성일: 2024년 1월 9일

 

Macbook에 USB Keyboard나 Bluetooth Keyboard를 연결해서 사용하다보면, 

Home과 End Key가 MS Windows와 달라서 불편하다.

 

Karabiner-Elements App을 설치하면 원하는대로 Key를 변경할 수 있지만, 나는 Macbook에 이것저것 App 설치하는 것이 싫어서 설정 파일을 직접 작성해서 Home, End Key 설정을 변경했다.

 

나중에 까먹고, 또 검색하느라 시간을 허비할 것 같아서 여기에 메모해둔다.

 

##  아래의 순서로 명령을 실행한다.

$ cd ~/Library
$ mkdir KeyBindings
$ cd KeyBindings
$ cat << EOF >> DefaultKeyBinding.dict
{
/* Remap Home / End */
"\UF729" = "moveToBeginningOfLine:"; /* Home */
"\UF72B" = "moveToEndOfLine:"; /* End */
"$\UF729" = "moveToBeginning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Home */
"$\UF72B" = "moveToEnd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End */
}
EOF
$

위와 같인 .dict 파일을 생성했으면, Log Out하고 다시 Log In 한다. 

그러면 Home Key와 End Key의 설정이 바뀌어 있을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Git 문서를 참고하기.

https://gist.github.com/trusktr/1e5e516df4e8032cbc3d

 

My DefaultKeyBinding.dict for Mac OS X

My DefaultKeyBinding.dict for Mac OS X. GitHub Gis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gist.github.com

 

위 Git 문서에서 중요한 부분만 발췌했다.

/* ~/Library/KeyBindings/DefaultKeyBinding.Dict

This file remaps the key bindings of a single user on Mac OS X 10.5 to more
closely match default behavior on Windows systems. This makes the Command key
behave like Windows Control key. To use Control instead of Command, either swap
Control and Command in Apple->System Preferences->Keyboard->Modifier Keys...
or replace @ with ^ in this file.

Here is a rough cheatsheet for syntax.
Key Modifiers
^ : Ctrl
$ : Shift
~ : Option (Alt)
@ : Command (Apple)
# : Numeric Keypad

Non-Printable Key Codes

Standard
Up Arrow:     \UF700        Backspace:    \U0008        F1:           \UF704
Down Arrow:   \UF701        Tab:          \U0009        F2:           \UF705
Left Arrow:   \UF702        Escape:       \U001B        F3:           \UF706
Right Arrow:  \UF703        Enter:        \U000A        ...
Insert:       \UF727        Page Up:      \UF72C
Delete:       \UF728        Page Down:    \UF72D
Home:         \UF729        Print Screen: \UF72E
End:          \UF72B        Scroll Lock:  \UF72F
Break:        \UF732        Pause:        \UF730
SysReq:       \UF731        Menu:         \UF735
Help:         \UF746

OS X
delete:       \U007F

For a good reference see http://osxnotes.net/keybindings.html.

NOTE: typically the Windows 'Insert' key is mapped to what Macs call 'Help'.
Regular Mac keyboards don't even have the Insert key, but provide 'Fn' instead,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

{
    "@\UF72B"  = "moveToEndOfDocument:";                         /* Cmd  + End   */
    "~@\UF703" = "moveToEndOfDocument:";                         /* Cmd + Option + Right Arrow */

    "@$\UF72B" = "moveToEndOfDocumentAndModifySelection:";       /* Shift + Cmd  + End */

    "@\UF729"  = "moveToBeginningOfDocument:";                   /* Cmd  + Home  */
    "~@\UF702" = "moveToBeginningOfDocument:";                   /* Cmd + Option + Left Arrow */

    "@$\UF729" = "moveToBeginningOfDocumentAndModifySelection:"; /* Shift + Cmd  + Home */

    "\UF729"   = "moveToBeginningOfLine:";                       /* Home         */
    "~\UF702"  = "moveToBeginningOfLine:";                       /* Option + Left Arrow */

    "$\UF729"  = "moveToBeginning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Home */
    "$~\UF702" = "moveToBeginning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Option + Right Arrow */

    "\UF72B"   = "moveToEndOfLine:";                             /* End          */
    "~\UF703"  = "moveToEndOfLine:";                             /* Option + Right Arrow */

    "$\UF72B"  = "moveToEnd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End  */
    "$~\UF703" = "moveToEndOfLineAndModifySelection:";           /* Shift + Option + Left Arrow  */

    "\UF72C"   = "pageUp:";                                      /* PageUp       */
    "\UF72D"   = "pageDown:";                                    /* PageDown     */
    "$\UF728"  = "cut:";                                         /* Shift + Del  */
    "$\UF727"  = "paste:";                                       /* Shift + Ins */
    "@\UF727"  = "copy:";                                        /* Cmd  + Ins  */
    "$\UF746"  = "paste:";                                       /* Shift + Help */
    "@\UF746"  = "copy:";                                        /* Cmd  + Help (Ins) */

    "~j"       = "moveBackward:";                                /* Option + j */
    "~l"       = "moveForward:";                                 /* Option + l */
    "~i"       = "moveUp:";                                      /* Option + i */
    "~k"       = "moveDown:";                                    /* Option + k */

    "@~i"      = ("moveUp:","moveUp:","moveUp:","moveUp:","moveUp:","moveUp:","moveUp:","moveUp:",);                            /* Cmd + Option + j */
    "@~k"      = ("moveDown:","moveDown:","moveDown:","moveDown:","moveDown:","moveDown:","moveDown:","moveDown:",);                            /* Cmd + Option + j */

    "@\UF702"  = "moveWordBackward:";                            /* Cmd  + LeftArrow */
    "@~j"      = "moveWordBackward:";                            /* Cmd + Option + j */
    "@\U007F"  = "deleteWordBackward:";                          /* Cmd  + Backspace */

    "@\UF703"  = "moveWordForward:";                             /* Cmd  + RightArrow */
    "@~l"      = "moveWordForward:";                             /* Cmd + Option + l */
    "@\UF728"  = "deleteWordForward:";                           /* Cmd  + Delete */

    "@$\UF702" = "moveWordBackwardAndModifySelection:";          /* Shift + Cmd  + Leftarrow */
    "@$\UF703" = "moveWordForwardAndModifySelection:";           /* Shift + Cmd  + Rightarrow */
}

 


 

반응형

맥북 또는 맥미니를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다보면, 색감이나 선명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것을 느낀다.

특히 맥북의 화면과 모니터를 번갈아가면서 볼 때는 화질 차이가 더 심하게 느껴진다.

대부분 이런 불만이 있을 때, Retina 모니터를 구입하라고 솔루션을 제시하면서 LG전자의 80만원대 모니터를 추천하는데 나한테는 너무 비싼 모니터이다.

그래서 LG전자의 80만원대 모니터가 좋은 솔루션인줄 알았지만 몇년간 참으면서 살았다. 

 

그런데 최근 국내 중소기업 2곳이 30만원짜리 UHD 모니터를 출시하면서 나도 Mac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내가 맥북 프로와 모니터를 연결한 구성은 아래와 같다.

 

  • 맥북 프로 2015년 Mid (AMD Radeon R9 M370X 2GB GDDR5) 모델의 썬더볼트 포트(즉, mini-DP 포트)와
  • 크로스오버 2890CU 모니터의 DP 포트를 연결했다.
  • 그리고 케이블은 "이지넷 Mini Display to DP v1.4 NEXTLINK-MDPC5" 라는 케이블을 사용했다. (아래 사진을 참고)
    아래 사진에서 왼쪽 DP 포트를 크로스오버 2890CU 모니터의 DP 포트에 연결하고, 
    오른쪽 mini-DP 포트를 맥북 프로(Macbook Pro)의 썬더볼트 포트에 연결했다.

 

 

 

이렇게 구성한 결과는?

 

대만족이다. 모니터와 케이블 구입에 32만원을 사용했는데 만족감은 100만원 정도 지출했을 때의 만족감이다.

진작 이렇게 구성해서 사용할껄하는 후회감이 마구마구 밀려온다.

 

 

 

돈이 부족하다면, 이렇게 구성하는 대안도 있다.

 

내가 QHD 모니터도 한대 가지고 있어서, QHD 모니터를 위 UHD 모니터와 동일한 방식(mini-DP to DP)으로 연결해봤는데, HDMI로 모니터를 연결했을 때보다 훨씬 선명도가 높다.

즉, 연결방식을 HDMI에서 DP로만 바꾸어도 MacOS는 화질 개선이 많이 된다.

 

MacOS를 사용하면서 모니터 화질에 불만이 많은 분은 HDMI 대신 mini-DP to DP 연결을 시도해보시라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