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성일: 2024년 5월 17일

 

현재 운행하고 있는 전기차는 총 2대.
  - 아이오닉 Electric 구입일:  2020년 9월  (1회 완충시 봄,여름,가을에는 350km 주행. 겨울에는 200km 주행 가능)
  - 볼트 EUV 구입일:  2023년 4월  (1회 완충시 봄,여름,가을에는 550km 주행.  겨울에는 300km 주행 가능)

 

전기차 구입한 날짜

- 2020년 9월에 아이오닉 일렉트릭 신차를 구입하고 아이오닉으로 인덕원 ~ 서초동 구간을 출퇴근하고 있다.

- 2023년 4월에 볼트EUV 신차를 추가로 구입하고, 아이오닉과 볼트EUV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그 전에 운전했던 차는 '쉐보레 캡티바 2012년식'이었다.

디젤 엔진 차를 이용해서 막히는 출근길을 운전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디젤 연료를 사용하다보니, 심적으로 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죄책감이 있었다.

그래서 출근길 스트레스를 줄이고, 공기 오염도 줄여보자는 생각이 있어서 큰 고민없이 현대차 대리점에 방문하고,

1초의 망설임도 없이 계약서를 작성하고 1주일 후에 차를 출고해서 받았다.

그렇게 2년 6개월 정도 아이오닉을 운행하고, 만족감이 커서

바로 쉐보레 볼트 EUV가 수입되자마자(즉, 미국 디트로이트 공장에서 한국으로 볼트EUV를 선적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마자)

쉐보레 대리점으로 가서 볼트EUV를 계약했다.

 

전기차로 출퇴근하는 것에 대해 총평을 해보자면,

우선 좋았던 점은;

  • 기존 디젤차 대비해서 빠릿빠릿한 움직임이 만족스럽다. (가속할 때 시원하게 가속해주니까 스트레스가 없어지는 느낌적인 느낌)
  • 조용하다. 막히는 도로에서 엔진의 아이들링 소음/진동이 없으니까, 청각의 피로감이 없다. (제일 만족하는 부분)
  • 디젤, 가솔린 엔진 자동차는 도로 정체가 심하면 연비가 팍~ 떨어지는데, 전기차는 도로가 막히던 안 막히던 연비가 꾸준하니까 도로 정체가 별로 부담스럽지 않다.
  • 자동차 정비소에 갈 일이 없다. 예전에 디젤, 가솔린차 신차를 구입하면, 1년 이내에 1~2회 정도는 꼭 정비소에 가서 소모품과 오일류를 교환했다.  전기차는 딱히 소모품과 오일류가 없다보니 정비소를 방문할 일이 없다.
    (2022년 4월 내용을 추가:
      리콜 받으라는 통지서가 날라왔다.
      그래서 서울 대방역 근처에 있는 현대자동차 남부서비스센터에 다녀왔다.
      정기적인 것은 아닌데, 냉각액이라는 것을 교체했다. 그 외에 소모품도 모두 무상으로 교체해줬다.
      아마도 바쁜 일정을 쪼개서 리콜 때문에 내방하는 고객이 쫌~ 짜증을 내는 경우가 있어서
      이렇게 무상으로 소모품도 갈아주고 충전도 무료로 해주는 것 같다.
      아무튼, 차량 하자로 인한 리콜을 제외하면 정비소에 갈 일은 없다)
  • 브레이크 패드, 디스크 등이 아직도 새것 그대로이다.  전기차는 제동할 때,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력 보다는 발전기를 먼저 사용해서 제동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일반 차량보다 훨씬 적게 사용된다.  이렇다보니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가 거의 없다.

 

불편하거나 나빴던 점은; 

  • 전기차는 겨울이 되면 배터리 효율이 여름보다 70%이하로 확 떨어진다.
    아이오닉(2020년식)을 예로 들자면,
    5~6월에는 배터리를 100% 충전하고 에어컨을 적당히 24~25도로 설정하고 운행하면, 실 주행거리가 320km 정도가 된다.
    (고속도로를 달리던, 길이 꽉히는 출근길 국도를 달리던 320km 주행거리를 거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12월에는 배터리를 100% 충전하고 약간 따뜻하다고 느낄 정도로 히터를 설정하고 운행하면, 실 주행거리가 200km 될까 말까 한다. 수치상으로는 이렇지만 실제 운전할 때는 겨울의 주행 거리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느낌이다.
  • 쉐보레 볼트EUV도 아이오닉과 비슷하게 겨울에 실주행거리가 많이 감소한다.
    그렇지만, 배터리 용량이 커서 주1회 충전하고 인덕원-서초 출퇴근이 가능했다.
  • 겨울에 히터를 빵빵하게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이 무슨 얘기냐면, 히터(난방기)가 사용하는 전력량이 크기 때문에 히터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고 달리면, 평소 5일 간격으로 충전하던 배터리를 3일 간격으로 충전해야 할 정도로 배터리의 전기를 많이 쓴다.
  • 연비(전비)가 항상 고르게 나온다.
    디젤,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도로가 막히면 공회전과 감속으로 인해 손실되는 연료가 많아서 연비가 뚝 떨어지지만,
    전기차는 도로가 막히거나 가속/감속을 많이 해도 연비가 항상 일정하게 나온다. 
    즉, 경제 운전을 하지 않아도 경제적으로 운행된다. (이것이 디젤,가솔린 차량과 가장 큰 차이가 아닐까 싶다) 

 

남들은 전기차의 이런 점이 불편하다고 하지만, 나는 그럭저럭 괜찮았던 점은;

  • 전기차에 관한 불편한 점을 언급할 때 항상 빠지지 않는 것이 충전 시간이 길다는 것인데, 나는 집 근처에 급속 충전기가 있어서 주로 급속 충전기에 전원을 연결하고, 30~40분 정도 학의천을 산책하고 온다. 충전하는 시간에 운동하러 가니까 딱히 충전 시간이 불편하거나 아깝다는 느낌이 없다.
    그리고 백화점, 마트(이마트, 롯데마트, 이케아 등)에서 쇼핑할 때 충전기에 연결해놓는다.
    어짜피 마트에서 1시간 이상 시간을 보내는데 이 정도 시간을 보내면 완충 되고도 남는 시간이다.
  • 많은 사람이 이제는 충전 전기 요금 할인이 없어서 디젤, 가솔린 차량에 비해 경제적 이득이 없다고 하는데, 내가 직접 디젤 SUV와 전기차를 모두 소유한 입장에서 동일한 운행패턴(인덕원~서초동)을 출퇴근해보니까, 전기 요금 할인이 없더라도 큰 차이가 있다.
      - 아이오닉, 볼트 EUV으로 출근시 연료비(인덕원~서초동): 500~550원  [도로가 막히든, 안 막히 꾸준하게 일정한 연비가 나온다]
      - 디젤 SUV로 출근시 연료비(인덕원~서초동):  1,700~2,000원 [도로가 막히면 연비가 떨어지고 연료비가 2천원을 넘는있다]
    즉, 전기 충전 요금 할인이 없어도 월등하게 전기차 연료비가 저렴하다.

 

내 경우는 정체가 심한 출퇴근 왕복 거리(34km)를 기준으로

1개월간 충전비용이

  • 여름에는 대략 2~3만원
  • 겨울에는 대략 4~5만원 

정도한다.

충전 비용을 줄이는 하나의 팁이 있는데, EVSIS 또는 대영채비 같은 충전 사업자들은 "구독" 요금제가 있어서 

이런 구독 서비스를 사용하면 충전 요금이 대략 60% 수준으로 뚝 떨어진다.

나도 1년 정도 EVSIS, 대영채비 구독 충전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만족감이 높다.

과장을 조금 보태면, 무료로 전기차를 운행하는 느낌적인 느낌...(실제로 무료라는게 아니다... 느낌이 그렇다는 것이지... ^^)

 

참고로, 쉐보레 볼트 EUV는 인덕원(평촌)~서초동 출퇴근한 할 때 2주 간격으로 충전해도 배터리가 넉넉하게 남는다.
일상 생활에서 볼트 EUV 충전 때문에 불편한 적은 없었다.

 

 

볼트EUV 연비

사진 설명:
2023년 6월, 배터리를 100% 충전한 후 예상 주행 가능한 거리는 607km(최대 716km)로 표시됨.

이렇게 100% 완충한 후, 배터리가 15%가 될때까지 달려보았더니, 실제로 600km 이상 달릴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주행 조건:  에어컨 약하게 켜고, 통풍시트 1단계로 설정하면서 주행. 실외 온도는 대략 섭씨 20~25도 전후)

(주차 조건:  주차중 블랙박스가 켜져 있도록 설정함)

반응형

 

작성일: 2024년 4월 9일

 

Amazon AWS, Microsoft Azure, Google GCP, Oracle Cloud Infra 등 CSP에서 Compute resource를 생성하려고 보면,

이 Compute instance(또는 VM instance)를 생성한 것 때문에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감을 잡기가 어렵다.

 

마침, Oracle Cloud의 연간 Credit 구입한 것이 많이 남아 있고, 5일 후에 Expire되기 때문에 남는 Credit을 소진해볼겸

VM instnace를 Scale-up, Scale-down하면서 비용 증가/감소 정도를 체크해봤다.

 

1개 VM instance를 대상으로 CPU/Memory Scale-up 수행 후 비용 증감을 체크

초기 VM instance의 Spec Scale-up 이후의 Spec 비용 증가분(Delta)
CPU: 1 core (2 thread)
MEM: 2GB
Storage: 50 GB (Boot volume)
CPU: 8 core (16 thread)
MEM: 128 GB
Storage: 50 GB (Boot volume)
11,479 원   (Daily Cost)

 

참고:
  CPU 종류: AMD EPYC 7J13
  CPU Caches: 
      L1d:  512 KiB (8 instances)
      L1i:   512 KiB (8 instances)
      L2:   4 MiB (8 instances)
      L3:   32 MiB (2 instances)

 

 

 

위에 내가 실제로 VM instance를 Scale-up한 이후의 비용 증가분을 계산한 것은
클라우드 테넌트 계약 조건과 현재 원/달러 환율 따라 30% 정도 차이가 날 것이다.
특히 클라우드 테넌트 계약시, 3년 이상 장기 계약한 경우 많은 할인율이 적용되서  Scale-up에 대한 증가분이 크지 않을 수 있다.
1년 단위로 단기 계약한 테넌트라면, CPU/Memory를 Scale-up할 때 비용 증가분이 위의 계산 결과보다 클 수 있다.

 

 

반응형
작성일: 2024년 4월 9일

 

Microsoft Azure, AWS(Amazon), GCP(Google Cloud Platform), Oracle Cloud Infra 등 Cloud Infra 서비스를 사용하다보면

예상한 것보다 비용이 더 지출되는 경우가 있다.

내 경우, Cloud Infra를 1년간 사용하는 중에 Storage(Block Volume)과 VCN(Virtual Cloud Network) 리소스 사용 비용이 계속 증가만 하길래 이 비용 증가 원인을 찾는 작업을 했다.

 


 

나는 회사 업무 때문에 CSP(Cloud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Managed Kubernetes를 종종 이용하는데, 

이 Managed Kubernetes의 cluster를 생성하고 삭제하는 과정에서 찌꺼기 리소스가 계속 발생하고 있었다.

찌꺼기 리소스가 발생하게 된 이유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Managed Kubernetes 서비스를 이용하여 Cluster-A를 생성한다.
  2. Cluster-A에 Pod, LoadBalancer Type의 Service 리소스 등을 생성한다.
  3. 몇달 동안 사용 후 Cluster-A를 삭제한다.    <-- 이 순간부터 찌꺼기 리소스에 대한 과금이 시작된다 (일명, 숨겨진 비용 발생)

 

위와 같은 순서로 Managed Kubernetes Cluster를 사용하면,

Pod가 사용했던 Storage(즉, PV)와 Public IP Address를 사용했던 LoadBalancer 리소스가 찌꺼기로 남게 된다.

즉, 실제로는 K8s Cluster가 없지만 Storage와 Public IP address는 내 테넌트 내의 자원으로 할당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찌꺼기 자원이 계속 비용을 유발하므로, 발견한 즉시 삭제해야 한다.

내 경우, 1년 동안 사용하면서 Pod, PVC, PV, Service Resoruce(LB Type) 등을 먼저 삭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K8s cluster를 삭제한 경우가 2번 있었는데... 이것들을 정리하고 나니까 Cloud 사용 요금이 50% 수준으로 떨어졌다. ㅠㅠ

그 동안 쓰지 않아도 될 돈을 지출하고 있었던 것이다.

 

Cloud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Kubernetes cluster를 삭제하는 순서에 대해서 꼭 주의하자!

 

  1. Kubernetes cluster 내부에서 사용했던 Pod, PVC, PV, Service Resoruce를 모두 삭제한다.
  2. PV, Service Resource가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 후,
  3. Kubernetes cluster를 삭제한다.

 


 

반응형
작성일: 2024년 4월 11일

 

새로 만든 Web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 인터넷 도메인을 등록했다.

"YesNIC.com" 에서 .KR 도메인을 등록했고,

새로 등록한 Domain name에 맞는 서버 인증서(Certificate)도 발급했다.

 

SSL Certificate(인증서)을 발급하는 순서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렇다. 

  1. "https://yesnic.com/" 에서 인터넷 도메인 등록하기 (예: sejong.kr)
  2. "https://www.sslcert.co.kr/" 에서 *.sejong.kr 도메인을 위한 서버 보안 인증서 발급 요청
    1. DNS, Email 인증 방식 중에서 DNS 인증 방식으로 Domain name 소유자 임을 증명.
    2. Domain name 소유자 증명이 끝나면, 바로 내 Certificate과 Root/Chain Certificate 파일이 압축 파일 1개로 묶여서 Email 첨부로 수신됨.
  3. Email로 수신한 Certificate을 Web server에 등록하기

 

자세한 발급 절차는 아래 Web docs를 참고하면 좋다.

    https://www.sslcert.co.kr/supports/usage

 

 

SSL Certificate(인증서) 발급 비용

인증서 용도 및 도메인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나는 Wildcard 도메인 옵션을 포함해서 10만원에 발급했다.

인증서 발급 기관, 기관 인증 범위, 도메인 범위에 따른 자세한 금액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길~

    https://www.sslcert.co.kr/products

    https://www.sslcert.co.kr/products/wildcard-ssl-certificate-comparison

 

SSL Certificate 발급 심사 수준에 따른 Level 

DV(Domain Validation)

인터넷 도메인 네임의 소유 여부를 검사하고 Certificate을 발급한다.

해당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실존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Certificate을 발급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다.

OV(Organization Validation)

사업의 적법성을 검증하고 인터넷 도메인 네임의 소유 여부를 확인하고 Certificate을 발급한다.

이 OV Level의 Certificate을 설치한 Web site는 믿고 거래할 수 있다.

EV(Extended Validation)

Certificate 발급 기관(CA)이 까다롭게 기업 실체를 확인하고 EV Level의 Certificate을 발급한다.

 

지식 공유하는 수준으로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DV Level의 Certificate도 충분하다.
그러나 기업 홍보, 신뢰성이 필요한 기관의 웹 사이트라면 OV Level의 Certificate이 있어야 Client가 믿고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Apache2 웹 서버에 SSL 인증서 설치하기

 

 

발급 받은 인증서 파일을 Apache2 Web Server에 복사

인증서 관련 파일을 Apache2 Web Server에 복사한다. (아래와 같은 Path에 복사)

파일 종류 파일 경로
CA Root Chain 통합 파일 /etc/apache2/ssl.crt/root-chain-bundle.pem
SSL Certificate 파일 /etc/ssl/certs/_wildcard_.my-domain.kr_20240312.crt.pem
SSL Sertificate Key 파일 /etc/ssl/private/_wildcard_.my-domain.kr_20240312.key.pem

 

mod_ssl 모듈을 활성화

아래 a2enmod 명령을 실행하여 mod_ssl 모듈을 활성화한다.

$ a2enmod ssl

$ cd /etc/apache2/sites-enabled

$ ln -s ../sites-available/default-ssl.conf

 

 

SSL 관련 설정을 추가

$ cd /etc/apache2/sites-enabled

$ vi default-ssl.conf

<IfModule mod_ssl.c>
        <VirtualHost _default_:443>
                ServerAdmin sejong-kanadaramabara-king@gmail.com
                ServerName my-domain.kr
                ServerAlias my-domain.kr
                SSLProtocol all -SSLv3 -TLSv1 -TLSv1.1
                
                ... 중간 생략 ...
                
                SSLEngine on
                
                ... 중간 생략 ...
                
                SSLCertificateFile      /etc/ssl/certs/_wildcard_.my-domain.kr_20240312.crt.pem
                SSLCertificateKeyFile   /etc/ssl/private/_wildcard_.my-domain.kr_20240312.key.pem

... 중간 생략 ...

        </VirtualHost>
</IfModule>

 

 

Apache2 Web Server를 재기동

$ systemctl restart apache2

$ systemctl status apache2

$ netstat -anp | grep apache2
tcp6       0      0 :::80                   :::*                    LISTEN      369206/apache2
tcp6       0      0 :::443                  :::*                    LISTEN      369206/apache2

 

위와 같이 TCP 443 포트를 LISTEN하고 있으면 정상적으로 SSL 적용된 것이다.

Web browser를 이용해서 https://my-domain.kr 과 같은 주소로 접속하면 보안 경고 없이 웹 페이지가 보일 것이다.

 


 

반응형

 

작성일: 2023년 12월 6일

 

 

전기차가 2대가 되면서 내 집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나 고민이 되기 시작했다.

전기차 2대를 집 근처 주민센터에서 충전하는 것은 귀찮기도 하구 ㅠㅠ

 

2023년 3월, 자가(개인용)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면 아래 표와 같이 요금이 나온다.

 

전기차 충전 전력 요금 (자가소비용)

 

7kWh 충전기를 설치한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요금이 부과될 것이다.

  • 월 기본 요금: 16,730원 (2,390원 X 7kWh)
  • 월 충전 요금: 14,910원 (99.4 X 5kWh X 30일)    ##전기차로 출퇴근만 한다는 가정.
  • 총합: 대략 3만원 정도.

 

충전기 설치 비용은 충전 기기, 한전 전기 공사 비용, 기기 장착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해서 대략 200만원 정도라고 한다.

(설치 장소와 설치 난이도에 따라 이 비용은 유동적이라 직접 업체와 견적을 내봐야 정확한 비용을 알 수 있다)

한 집에서 5년 이상 거주할 거라면, 설치할만한데... 5년 이하로 거주하다가 이사할 것이라면 공용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면에서 손해다.

 

언제 이사할지 몰라서 판단이 안 서네... ㅡㅡ;

오늘 설치했는데, 내년에 집을 팔고 이사하면... 완전 손해 ㅠㅠ.

 

 


 

2023년 현재,  설치할까 말까 고민 중인 제품은... "파인이브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