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성일: 2024년 3월 27일

 

 

Oracle Cloud Infra(OCI) 그리고 Kubernetes Engine(OKE)를 사용하면서 참고하기 좋은 블로그를 찾았다.

타이틀은 개인 기술 블로그이지만, 거의 Oracle Cloud Infra의 공식 사용 매뉴얼 같은 느낌이다.

Oracle Cloud Infra의 공식 문서보다 사용자 입장에서 잘 작성된 글이다.

 

https://thekoguryo.github.io/

 

TheKoguryo's 기술 블로그

 

thekoguryo.github.io

 

공식 홈피에는 너무 많은 자료가 있어서 다 읽기 부담스러운데, 이 블로그는 딱 필요한 부분만 설명되어 있고

대부분 시간순으로 글이 진행되니까 따라서 실행하면 되는지라...

처음 OCI를 접하는 사람이 한번 쭉~ 읽고 OCI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테스트한 날짜: 2023년 2월 14일

 

 

아래와 같이  /etc/containers/registries.conf.d/myregistry.conf 파일에 container image registry의 주소를 추가한다.

만약, 8080, 8443 같은 포트를 사용한다면 domain name 뒤에 :8080, :8443 값을 붙여주어야 한다.

 

 

(참고:  아래 2개 명령 중에서 첫번째 명령만 수행해도 잘 동작한다 ^^)

 

$  cat > /etc/containers/registries.conf.d/myregistry.conf <<EOF

[[registry]]
location = "registry.myexample.kr"
insecure = true

EOF

$


$  cat > /etc/containers/registries.conf.d/your_registry.conf <<EOF

[[registry]]
location = "registry.your-example.kr:8443"
insecure = true

EOF

$

 

 

위와 같이 conf 파일만 작성하고 바로 podman 명령을 수행하면 잘 동작한다.

 

 

$  podman login registry.myexample.kr

Username: gildong
Password:
Login Succeeded!

$

 


 

반응형

 



설치 및 테스트한 날짜: 2023년 4월 12일
Harbor version: v2.7.0

 

아래 문서에 준비 작업, 설정, 설치 과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세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면 아래 문서를 읽어보는 것이 좋다.

 

https://goharbor.io/docs/2.7.0/install-config/

 

Harbor – Harbor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Harbor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goharbor.io

 

 

1) 사전 준비 작업

아래 Web docs에 Harbor 운영에 필요한 HW 스펙 및 Software, Network port 정보가 있다.

 

https://goharbor.io/docs/2.7.0/install-config/installation-prereqs/

 

특별한 내용이 없으니까, 간단하게 읽고 패쑤~

 

 

2) Harbor Installer 다운로드 받기

아래 Web docs에 Harbor installer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절차가 설명되어 있다.

특별한 내용이 없으니까, 설명되어 있는 명령을 따라서 수행하면 된다.

 

  - 다운로드에 대한 설명 : https://goharbor.io/docs/2.7.0/install-config/download-installer/

  - 설치 파일 저장소:  https://github.com/goharbor/harbor/releases/tag/v2.7.0  (이 페이지의 제일 밑에 있는 링크를 사용)

  - 실제 다운로드한 파일: https://github.com/goharbor/harbor/releases/download/v2.7.0/harbor-offline-installer-v2.7.0.tgz

 

나는 여러 설치 파일 중에서 'harbor-offline-installer-v2.7.0.tgz'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

그리고 이 tgz 압축 파일을 풀어준다.  (파일을 설정하고 실행하는 것은 뒤에서 다시 설명함)

 

3) Harbor 서버에 HTTPS Access하기 위한 인증서 만들기

OpenSSL 명령 도구를 잘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아래 Web docs의 예제 명령어를 조금 수정해서 수행하면 된다.

그런데 SSL 지식이 없거나 OpenSSL 명령 도구가 생소한 사람이라면, SSL을 공부하고 아래 Web docs 예제를 따라가는 것이 좋다.

 

https://goharbor.io/docs/2.7.0/install-config/configure-https/

 

내 경우, 위 문서의 예제 명령에서 "yourdomain.com" 부분만 실제 나의 internet domain name으로 변경하고 인증서를 만들었다.

 

 

4) 설정 파일 harbor.yaml 작성하기

위에서 다운로드한 'harbor-offline-installer-v2.7.0.tgz' 파일에 harbor.yml.tmpl 파일이 있다.

이 설정 파일을 내 상황에 맞게 편집하면 되는데, 솔직히 항목이 많고 설명을 읽어도 아리송한 부분이 있다.

내 경우는 전체 설정 항목 중에서 아래 예시와 같이 몇 개만 수정했다.

 

##
## 설정 Template 파일을 복사
##

$  cp  harbor.yml.tmpl  harbor.yml



##
## 설정 파일을 편집하기
##

$  vi  harbor.yml

... 중간 생략 ...

hostname: registry.sejong-world.kr

... 중간 생략 ...

https:
  port: 443
  certificate: /data/cert/sejong-world.kr.crt
  private_key: /data/cert/sejong-world.kr.key

harbor_admin_password: MyNewPass56789


$

 

 

 

5) 설치 Script 실행하기

아래 Web docs에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따라 하기만 해도 잘 설치된다.

 

https://goharbor.io/docs/2.7.0/install-config/run-installer-script/

 

단,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데 나는 Chart repository 서비스도 사용할 거라서

아래와 같이  --with-chartmuseum 옵션을 추가했다.

이 옵션으로 설치하면, container image registry와 chart repository 서비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sudo ./install.sh --with-chartmuseum

 

 

위 옵션을 지정한 것 외에는 나머지 모든 설치 및 기동 종료 절차는 Web docs와 완전히 동일하게 수행했다.

문서의 설명이 간단했고, 따라만 해도 에러없이 설치가 술술 잘 되어서 부연 설명할 부분이 없다.

 

##
## Harbor 서버 종료하기  
##  (옵션 '-v'는 데이터 볼륨을 삭제하라는 뜻)
##

$  docker compose down -v


##
## Harbor 서버 시작하기 
##  (옵션 '-d'는 백그라운드에서 데몬 프로세스로 구동하라는 뜻)
##
$ docker compose up -d

 

 

 

 

 

 

 


 

반응형

 

 


 

이슈가 발생했던 날짜: 2023년 2월 6일 저녁 8시
글 작성 날짜: 2023년 2월 6일

 

아이폰13 발신 정지.  왜 이런거야?

 

일본 여행 때문에 아이폰13에 일본 이동통신사 Softbank SIM(심) 카드를 꽂았다가 빼고,

다시 원래 사용하던 SKT 알뜰폰 SIM을 꽂았다. (어제 했던 일)

그런 후 하루 동안 이상없이 잘 사용했다.

그런데 오늘 밤 8시 6분부터 아래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받았고, 그 뒤로 문자 메시지 발신이 정지되었다.

 

[SKT 알뜰폰] KAIT 정보제공 미동의 고객으로 정지처리 되었습니다.

 

발신만 안 될 뿐, 메시지 수신은 잘 된다. 그리고 데이터도 차단된 상태이다.

검색해보니까 많은 사람들이 SIM(심)카드 옮겨 꽂는 과정에서 똑같은 현상을 겪었다는 것을 알았다.

 

아래 SKT 알뜰폰 '개인정보 수집, 이용 및 제공에 대한 안내' 웹 페이지에서 동의만 하면, 거의 5초 이내로 바로 발신 정비가 풀린다.

 

https://m.sktmnp.co.kr/mvno/agree

 

MVNO

 

m.sktmnp.co.kr

 

SKT 망을 빌려서 서비스하는 알뜰폰(MVNO) 사업자는 모두 위 사이트에서 처리가 되는 것 같다.  (이것은 나의 추측... ^^)

 


 

 

참고:
  위 이슈를 해결하고, 5개월 뒤에 또 한번의 해외 여행을 했었는데 또 다른 이슈가 발생.
  아래 내용을 참고~

 

 

 

해외 여행 중, 만 19세가 되어 귀국했을 때. 기존 미성년자 요금제 때문에 통신 차단.

 

2월에 오사카에 다녀오고, 7월에 도쿄를 다녀왔다.

그런데 이번에 열흘간 도쿄를 갈 때는 아들이 만18세일 때 출국해서 10일간 여행을 하면서 19번째 생일을 맞이했고, 그렇게 만 19세가 되어서 인천공항으로 돌아왔다.

단지, 해외에서 19번째 생일을 보냈을 뿐인데 귀국해서 스마트폰을 켜보니 스마트폰이 SKT 망에 붙지 않았다. ㅠㅠ

고객센터에 문의해보니, 미성년자 요금제라서 통신 제한이 걸렸다는 것처럼 설명해주었다.

( 내가 직접 고객센터와 통화한 것은 아니고, 아들이 통화한 내용을 전해들은 것이라서 정확한 내용은 나도 잘 모른다. )

 

아무튼 고객센터에서 미성년 -> 성년으로 요금제 변경하는 작업을 해주고 SKT망에 다시 잘 붙었다.

혹시 해외에서 19번째 생일을 보내고 입국했는데 스마트폰 통신이 안 된다면, 고객센터에 미성년자 관련 요금제에 관해서 문의해보면 좋을 것 같다.

 

 

게시물 작성자: sejong.jeonjo@gmail.com
반응형

 


 

Kubernetes 또는 Docker, CRI-O 등 Container runtime 환경에서 container를 사용하다보면,

UTC + 0로 timezone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자주 본다.

Container 내부의 timezoneSeoul(서울)로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따라하면 된다.

 

FROM ubuntu:22.04

... 중간 생략 ...

##
## Timezone 변경: Asia/Seoul 로 설정
##

RUN   apt install -y tzdata
RUN   ln -sn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중간 생략 ...

 


 

 

반응형

 

작성일: 2024년 2월 16일

 

방법 A)  timedatectl 명령으로 시스템 전체의 timezone 변경하기

##
## 세계의 모든 timezone 확인하기
##

$ timedatectl list-timezones
Africa/Abidjan
Africa/Accra
...
Asia/Seoul
Asia/Shanghai
Asia/Singapore
...

##
## 서울 시간대로 변경하기
##

$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 timezone이 잘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
$ timedatectl show

Timezone=Asia/Seoul
LocalRTC=no
CanNTP=yes
NTP=yes
NTPSynchronized=yes
TimeUSec=Wed 2023-03-15 09:45:38 KST
RTCTimeUSec=Wed 2023-03-15 09:45:38 KST


$ timedatectl status

               Local time: Wed 2023-03-15 09:45:41 KST
           Universal time: Wed 2023-03-15 00:45:41 UTC
                 RTC time: Wed 2023-03-15 00:45:41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

 

 

방법 B)  환경 변수로 timezone 변경하기

$  cat .bashrc
... 중간 생략 ...
export TZ=Asia/Seoul

$

 

 

 

 

 

반응형

 


작성일: 2024년 8월 7일

 

 

Ubuntu 22.04, Ubuntu 24.04에서 부팅 시간이 긴 현상

Ubuntu를 설치하고, 부팅할 때 아래와 같이 Network 설정 화면에서 오랜 시간 대기하는 경우가 있다.

 

A start job is running for wait for network to be configured

 

일단, Ubuntu OS가 부팅되면 root 계정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을 수정하고 reboot하면, 빠르게 부팅될 것이다.

 

##
## Network connection을 기다라지 않기 위해 아래와 같이 
##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를 비활성화한다.
##
$  systemctl disable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
## 다른 서비스에 의해서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 아래와 같이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를 masking한다.
##
$  systemctl mask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참고: 
  DHCP 설정 Off는 위 이슈와 관련은 없지만, 0.1초라도 부팅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면 DHCP를 off하는 것이 좋다.
  (물론, DHCP를 사용할 일이 없을 때만~~~)
##
## DHCP로 IP address 설정할 필요가 없다면, DHCP 기능을 끈다.
##
$  cat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 중간 생략 ...

    enp7s0:
      dhcp4: false
      
... 중간 생략 ...

$

 


 

 

 

 

 

 

 

##
## 채용 관련 글
##
제가 일하고 있는 기업 부설연구소에서 저와 같이 연구/개발할 동료를 찾고 있습니다.
(이곳은 개인 블로그라서 기업 이름은 기재하지 않겠습니다. E-mail로 문의주시면 자세한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근무지 위치: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3호선 남부터미널역 근처 (전철역 출구에서 회사 입구까지 도보로 328m)
필요한 지식 (아래 내용 중에서 70% 정도를 미리 알고 있다면 빠르게 협업할 수 있음):
  - 운영체제 (학부 3~4학년 때, 컴퓨터공학 운영체제 과목에서 배운 지식 수준):
    예를 들어, Processor, Process 생성(Fork)/종료, Memory, 동시성, 병렬처리, OS kernel driver  
  - Linux OS에서 IPC 구현이 가능
    예를 들어, MSGQ, SHM, Named PIPE 등 활용하여 Process간 Comm.하는 기능 구현이 가능하면 됨. 
  - Algorithm(C언어, C++ 언어로 구현 가능해야 함)
    예를 들어, Hashtable, B-Tree, Qsort 정도를 C 또는 C++로 구현할 수 있을 정도 
  - Network 패킷 처리 지식(Layer 2 ~ 4, Layer 7)
    예를 들어, DHCP Server/Client의 주요 Feature를 구현할 정도의 능력이 있으면 됨.
  - Netfilter, eBPF 등 (IP packet hooking, ethernet packet 처리, UDP/TCP packet 처리)
  - IETF RFC 문서를 잘 읽고 이해하는 능력 ^^
  # 위에 열거한 내용 외에도 제가 여기 블로그에 적은 내용들이 대부분 업무하면서 관련이 있는 주제를 기록한 것이라서
  # 이 블로그에 있는 내용들을 잘 알고 있다면, 저희 연구소에 와서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C, C++, Go
    (참고: 아직 연구소 동료들이 Rust를 사용하진 않습니다만, 새 언어로써 Rust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중)
근무 시간:
  - 출근: 8~10시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
  - 퇴근: 8시간 근무 후 퇴근 (오후 5시 ~ 7시 사이)
  - 야근 여부: 거의 없음 (내 경우, 올해 상반기 6개월간 7시 이후에 퇴근한 경우가 2회 있었음)
  - 회식 여부: 자유 (1년에 2회 정도 회식하는데, 본인이 집에 가고 싶으면 회식에 안 감. 왜 참석 안 하는지 묻지도 않음)
외근 여부:
  - 신규 프로젝트 멤버 -> 외근 전혀 하지 않음 (나는 신규 프로젝트만 참여해서 지난 1년 동안 한번도 외근 없었음)
  - 상용 프로젝트 멤버 -> 1년에 5회 미만 정도로 외근
팀 워크샵 여부:
  - 팀 워크샵 자체를 진행하지 않음. (워크샵 참석하는 거 싫어하는 개발자 환영 ^^)
연락처:
  - "sejong.jeonjo@gmail.com"  # 궁금한 점은 이 연락처로 문의주세요.
  - 블로그 비밀 댓글 (제가 하루에 한번씩 댓글 확인하고 있음)
원하는 인재상:
  - 우리 부설연구소는 "긴 호흡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최소 2년간 한 가지 주제를 꾸준하게 연구/개발할 수 있는 개발자를 원함.
  - 우리 부설연구소는 자주적으로 연구 주제를 찾아서 업무를 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동료를 원함.
  - 차분하게 연구 주제에 몰입하고, 해법을 찾는 것을 즐기는 사람.
내가 느끼는 우리 연구소의 장점:
  - 갑/을 관계가 없음. (제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는 SI업종이 아니라서 갑/을 회사 개념이 없음)
  - 연구소 자체적으로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시스템을 개발하기 때문에 개발 일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음
  - 빌딩 전체를 우리 회사가 사용하므로 분위기가 산만하지 않음.
  - 근처에 예술의전당, 우면산 둘레길이 있어서 점심 시간에 산책하기 좋음 ^^
  - 연구소 동료들 매너가 Good (2년간 일하면서 한번도 감정에 스크레치 생기거나 얼굴 붉히며 싸운 적 없음 ^^)

 

 

반응형

 


 


설정 및 테스트한 날짜:  2023년 2월 7일

 

Harbor Registry  같은 private container image registry에 kubernetes가 접근하려면 kubernetes의 secret 리소스를 생성해줘야 한다.

kubernetes에 image registry의 credential(자격 증명)을 어떻게 등록하는지 알아보자~

 

 


설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아래 문서를 참고.
  참고 문서:   Private registry에서 image 받아오기

 

 

프라이빗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 받아오기

이 페이지는 프라이빗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나 리포지터리로부터 이미지를 받아오기 위해 시크릿(Secret)을 사용하는 파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현재 많은 곳에서 프라이빗 레지스트리가

kubernetes.io

 

 

Harbor registry에 접근할 수 있는 credential을 등록하기 위해 아래의 예제를 따라서 실행한다. 

## regcred 라는 이름의 secret 리소스를 생성한다.

$  kubectl create secret docker-registry regcred --docker-server=registry.sejong.cluster --docker-username=myusername --docker-password=mypassword

## 위에서 생성한 regcred secret 리소스 내용을 확인한다.

$  kubectl get secret regcred --output=yaml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
  name: regcred
  ...
data:
  .dockerconfigjson: eyJodHRwczovL2luZGV4L ... J0QUl6RTIifX0=
type: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

## 참고 정보:
##   - .dockerconfigjson 필드는 registry 자격 증명 값의 base64 인코딩한 결과이다.
##   - .dockerconfigjson 필드의 값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base64 decoding한다. (아래와 같이)

$ kubectl get secret regcred --output="jsonpath={.data.\.dockerconfigjson}" | base64 --decode

{"auths":{"registry.sejong.cluster":{"username":"myusername","password":"mypassword","auth":"c3R...zE2"}}}

$

## 위 출력 내용 중에서 'auth' 값을 아래와 같이 base64 decoding한다.

$  echo "c3R...zE2" | base64 --decode

myusername:mypassword

$

 

Kubernetes master node, worker node에 Insecure registry를 등록한다.

만약, 10개의 node가 있다면 10개 모두 동일하게 작업해줘야 한다. (아~  귀찮아 ㅠㅠ)

참고로, OKD 또는 Red Hat OCP를 사용한다면 아래처럼 kubernetes node에 직접 접속해서 수작업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  vi /etc/crio/crio.conf

...

insecure_registries = [
"registry.sejong.cluster"
]

...

$  systemctl restart crio

$  systemctl status crio

 

 

설정 작업이 끝났으면, 테스트~

 

아래와 같은 예제 Pod를 구동하여 Image pulling이 잘 되는지 확인한다.

 

 

$  cat my-pod-example.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almighty
  labels:
    app: almighty
spec: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3
  containers:
  - name: almighty
    image: registry.sejong.cluster/scope/almighty:0.2.4
       
$   kubectl apply -f my-pod-example.yaml

pod/almighty created

$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pod/almighty   1/1     Running   0          3s

$

 

Great !!!  잘 동작한다.

 

 


 

블로그 작성자: sejong.jeonjo@gmail.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