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성일: 2024년 2월 16일

 

 

Openstack에서 VM Instance를 새로 생성할 때, OS에 설정할 내용이 있다면 User Data를 입력하면 편하다.

(VM instance의 user datainit-cloud, cloud-init 스크립트라는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아래와 같이 예제를 보고, 필요한 부문만 조금씩 바꾸어 사용하는 것을 추천~

 

#cloud-config

ssh_pwauth: True

ssh_authorized_keys:
  - ssh-rsa AAA...SDvz sejong@xx.yy.com
  - ssh-rsa AAB...QTuo alphaa@aa.bb.com

chpasswd:
  list: |
     root:myxxyyzzroot
     ubuntu:myubuntuxxyyzz
     cloud-user:myxxyyzz
  expire: False
    
locale: en_US.UTF-8

# timezone: America/New_York
timezone: Asia/Seoul

bootcmd:
 - echo "My command at system booting" >> /var/my-cmd.txt

runcmd:
 - echo "My command example" >> /var/my-cmd.txt
 - apt install locales
 - locale-gen en_US.UTF-8
 - locale-gen ko_KR.UTF-8

 

위 예제는 root, ubuntu, cloud-user 등 3개 계정의 Password를 변경하고, timezone을 서울로 설정하고, Locale(언어)를 English로 설정하는 예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Web Docs를 참고하자 !!!

 

Red Hat 문서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8/html/configuring_and_managing_cloud-init_for_rhel_8/configuring-cloud-init_cloud-content

 

다양한 cloud-init 설정 예제 문서

https://ko.linux-console.net/?p=8814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gepage 설정 절차  (0) 2022.08.02
YUM 또는 DNF Repository 추가 방법  (0) 2022.06.22
Install Ansible AWX (version 17.1.0)  (0) 2021.11.16
How to use Ansible and Playbook  (0) 2021.11.12
Install OS with PXE and kickstart  (0) 2021.11.12
반응형

 

NUMA with Linux

https://lunatine.net/2016/07/14/numa-with-linux/

 

NUMA with Linux :: Lunatine's Box — Lunatine's Box

linuxnumainterleaved memoryinterleavenumctlnumad 3236 Words 2016-07-14 15:18 +0900

lunatine.net

https://frankdenneman.nl/2016/07/07/numa-deep-dive-part-1-uma-numa/

 

NUMA Deep Dive Part 1: From UMA to NUMA - frankdenneman.nl

Non-uniform memory access (NUMA) is a shared memory architecture used in today’s multiprocessing systems. Each CPU is assigned its own local memory and can access memory from other CPUs in the system. Local memory access provides a low latency – high

frankdenneman.nl

 

 

 

 

HugePages

https://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enhanced-platform-awareness-epa-in-openshift-part-i-hugepages-a28e640fabf6

 

Enhanced Platform Awareness (EPA) in OpenShift — Part I, HugePages

This series of posts will show how to configure EPA support in OpenShift 4. In this part you will see 1GB HugePages configuration and usage

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

 

CPU Pinning

https://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enhanced-platform-awareness-epa-in-openshift-part-ii-cpu-pinning-8e397fc9fe08

 

Enhanced Platform Awareness (EPA) in OpenShift — Part II, CPU pinning

This is the second part about how to configure an EPA ready OpenShift worker node, covering the CPU pinning and CPU isolation…

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

 

 

NUMA Topology Awareness

https://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enhanced-platform-awareness-epa-in-openshift-part-iii-numa-topology-awareness-180c91c40800

 

Enhanced Platform Awareness (EPA) in OpenShift — Part III, NUMA Topology Awareness

This time we are going to focus on how we can assure that the CPU scheduling takes into account the NUMA topology of the processor

luis-javier-arizmendi-alonso.medium.com

 

 

SR-IOV, DPDK, RDMA

https://medium.com/swlh/enhanced-platform-awareness-epa-in-openshift-part-iv-sr-iov-dpdk-and-rdma-1cc894c4b7d0

 

Enhanced Platform Awareness (EPA) in OpenShift — Part IV, SR-IOV, DPDK and RDMA

In this Post we’ll review some concepts that help to minimize random latencies and improve the network performance: SR-IOV, DPDK, and RDMA.

medium.com

 

 

반응형

https://engineer-mole.tistory.com/235#:~:text=w%20%ED%8C%8C%EC%9D%BC%EB%AA%85%20%23%20%ED%98%84%EC%9E%AC%EC%9D%98%20%ED%8C%A8%ED%84%B4,%EB%B3%80%ED%99%98%20%EB%AC%B8%EC%9E%90%EB%A1%9C%20%EB%B3%80%ED%99%98%ED%95%9C%EB%8B%A4.

 

[Linux] sed 커맨드 상황별 사용법

쉘에서 데이터를 가공할 때 sed를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상황에 따른 사용예를 정리한 포스팅이다. sed 커맨드는 Linux/Unix/BSD/OSX의 경우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sed 커맨드를 사용하기 위

engineer-mole.tistory.com

 

반응형

Service Account에 역할(Role)을 부여(Binding)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아래 Web Docs의 10.3 절을 참고할 것 !!!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openshift_container_platform/4.10/html-single/authentication_and_authorization/index

 

인증 및 권한 부여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4.10 | Red Hat Customer Portal

이 문서에서는 OpenShift Container Platform에서 ID 공급자를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클러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를 구성하는 방법도 알아봅니다.

access.redhat.com

 

반응형

Service Account에 역할(Role)을 Binding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아래 Web Docs의 10.3 절을 참고할 것 !!!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openshift_container_platform/4.10/html-single/authentication_and_authorization/index

 

인증 및 권한 부여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4.10 | Red Hat Customer Portal

이 문서에서는 OpenShift Container Platform에서 ID 공급자를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클러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를 구성하는 방법도 알아봅니다.

access.redhat.com

 

 

`oc login` 명령을 이용하여 Service Account에 로그인하는 방법은 위 Web Docs의 11.4 절을 참고할 것 !!!

Cluster 외부에서 Service Account로 Login하는 방법을 요약하자면,
1) Service Account의 Secret 정보(즉, Token)을 열람
2) 이 Secret(즉, Token)을 `oc login --token=eyJhbGciOiJSUzI1NiIsInR5cCI6IkpXVCJ9...` 이렇게 입력
3) `oc login` 성공하면,
4) `oc whoami`를 수행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A, CPU Pinning, DPDK, SR-IOV  (0) 2022.06.18
Service Account에 Role 부여 (Binding)  (0) 2022.06.16
Openshift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0) 2022.06.06
OCP API Token 조회  (0) 2022.05.19
kubernetes node의 taint & toleration  (0) 2022.03.30
반응형

Openshift 4.10 인증, 권한에 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Red Hat 공식 Web Docs를 읽어 보자!

 

(한국어 문서)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openshift_container_platform/4.10/html-single/authentication_and_authorization/index

 

인증 및 권한 부여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4.10 | Red Hat Customer Portal

이 문서에서는 OpenShift Container Platform에서 ID 공급자를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클러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를 구성하는 방법도 알아봅니다.

access.redhat.com

 

 

(영어 문서)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openshift_container_platform/4.10/html-single/authentication_and_authorization/index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4.10 | Red Hat Customer Portal

This document provides instructions for defining identity providers in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It also discusses how to configure role-based access control to secure the cluster.

access.redhat.com

 

반응형

빠르게 개념을 이해하고, Git 명령을 사용하고 싶다면 이 Web Docs를 읽어 보기 !!!

https://rogerdudler.github.io/git-guide/index.ko.html

 

git - 간편 안내서 - 어렵지 않아요!

 

rogerdudler.github.io

 

 

NULab에서 만든 Git 가이드 북.

https://backlog.com/git-tutorial/kr/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 | Backlog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Git에 입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Git을 사용해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께 공부해봅시다!

backlog.com

 

 

Git 개발 커뮤니티에서 직접 만든 Git Book

https://git-scm.com/book/ko/v2/

 

Git - Book

 

git-scm.com

 

반응형

쿠팡 같은 오픈 마켓에서도 애플 제품을 할인을 해주니까, 급할 때는 쿠팡에서 애플 제품을 구입하면 된다.

그런데 학생 교육 할인은 가격만 깍아주는 것이 아니라, 에어팟 같은 제품을 덤으로 주니까 오픈 마켓의 할인보다 더 이득이다.

 

Mac, iPad 구입시

- Mac, iPad 제품은 가격을 할인해주고

- AirPods를 무료로 준다. (최신 제품이 아니고, 보통 1세대 지난 것을 무료로 준다.)

- AirPods를 최신 제품으로 받고 싶다면, 1세대 지난 것과 최신 제품의 가격 차액만큼만 추가 결제하면 최신 AirPods를 받을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