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를 설치하고, 부팅할 때 아래와 같이 Network 설정 화면에서 오랜 시간 대기하는 경우가 있다.
A start job is running for wait for network to be configured
일단, Ubuntu OS가 부팅되면 root 계정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을 수정하고 reboot하면, 빠르게 부팅될 것이다.
##
## Network connection을 기다라지 않기 위해 아래와 같이
##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를 비활성화한다.
##
$ systemctl disable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
## 다른 서비스에 의해서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 아래와 같이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서비스를 masking한다.
##
$ systemctl mask systemd-networkd-wait-online.service
참고: DHCP 설정 Off는 위 이슈와 관련은 없지만, 0.1초라도 부팅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면 DHCP를 off하는 것이 좋다. (물론, DHCP를 사용할 일이 없을 때만~~~)
##
## DHCP로 IP address 설정할 필요가 없다면, DHCP 기능을 끈다.
##
$ cat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 중간 생략 ...
enp7s0:
dhcp4: false
... 중간 생략 ...
$
##
## 채용 관련 글
##
제가 일하고 있는 기업 부설연구소에서 저와 같이 연구/개발할 동료를 찾고 있습니다.
(이곳은 개인 블로그라서 기업 이름은 기재하지 않겠습니다. E-mail로 문의주시면 자세한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근무지 위치: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3호선 남부터미널역 근처 (전철역 출구에서 회사 입구까지 도보로 328m)
필요한 지식 (아래 내용 중에서 70% 정도를 미리 알고 있다면 빠르게 협업할 수 있음):
- 운영체제 (학부 3~4학년 때, 컴퓨터공학 운영체제 과목에서 배운 지식 수준):
예를 들어, Processor, Process 생성(Fork)/종료, Memory, 동시성, 병렬처리, OS kernel driver
- Linux OS에서 IPC 구현이 가능
예를 들어, MSGQ, SHM, Named PIPE 등 활용하여 Process간 Comm.하는 기능 구현이 가능하면 됨.
- Algorithm(C언어, C++ 언어로 구현 가능해야 함)
예를 들어, Hashtable, B-Tree, Qsort 정도를 C 또는 C++로 구현할 수 있을 정도
- Network 패킷 처리 지식(Layer 2 ~ 4, Layer 7)
예를 들어, DHCP Server/Client의 주요 Feature를 구현할 정도의 능력이 있으면 됨.
- Netfilter, eBPF 등 (IP packet hooking, ethernet packet 처리, UDP/TCP packet 처리)
- IETF RFC 문서를 잘 읽고 이해하는 능력 ^^
# 위에 열거한 내용 외에도 제가 여기 블로그에 적은 내용들이 대부분 업무하면서 관련이 있는 주제를 기록한 것이라서
# 이 블로그에 있는 내용들을 잘 알고 있다면, 저희 연구소에 와서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C, C++, Go
(참고: 아직 연구소 동료들이 Rust를 사용하진 않습니다만, 새 언어로써 Rust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중)
근무 시간:
- 출근: 8~10시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
- 퇴근: 8시간 근무 후 퇴근 (오후 5시 ~ 7시 사이)
- 야근 여부: 거의 없음 (내 경우, 올해 상반기 6개월간 7시 이후에 퇴근한 경우가 2회 있었음)
- 회식 여부: 자유 (1년에 2회 정도 회식하는데, 본인이 집에 가고 싶으면 회식에 안 감. 왜 참석 안 하는지 묻지도 않음)
외근 여부:
- 신규 프로젝트 멤버 -> 외근 전혀 하지 않음 (나는 신규 프로젝트만 참여해서 지난 1년 동안 한번도 외근 없었음)
- 상용 프로젝트 멤버 -> 1년에 5회 미만 정도로 외근
팀 워크샵 여부:
- 팀 워크샵 자체를 진행하지 않음. (워크샵 참석하는 거 싫어하는 개발자 환영 ^^)
연락처:
- "sejong.jeonjo@gmail.com" # 궁금한 점은 이 연락처로 문의주세요.
- 블로그 비밀 댓글 (제가 하루에 한번씩 댓글 확인하고 있음)
원하는 인재상:
- 우리 부설연구소는 "긴 호흡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최소 2년간 한 가지 주제를 꾸준하게 연구/개발할 수 있는 개발자를 원함.
- 우리 부설연구소는 자주적으로 연구 주제를 찾아서 업무를 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동료를 원함.
- 차분하게 연구 주제에 몰입하고, 해법을 찾는 것을 즐기는 사람.
내가 느끼는 우리 연구소의 장점:
- 갑/을 관계가 없음. (제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는 SI업종이 아니라서 갑/을 회사 개념이 없음)
- 연구소 자체적으로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시스템을 개발하기 때문에 개발 일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음
- 빌딩 전체를 우리 회사가 사용하므로 분위기가 산만하지 않음.
- 근처에 예술의전당, 우면산 둘레길이 있어서 점심 시간에 산책하기 좋음 ^^
- 연구소 동료들 매너가 Good (2년간 일하면서 한번도 감정에 스크레치 생기거나 얼굴 붉히며 싸운 적 없음 ^^)
- Link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Address. - 예를 들어, Router-A가 Link-Local Unicast Address를 Destination Address로 하는 패킷을 받으면 다른 Network로 Forward하지 않는다. - 그래서 1개 Link 구간에서 Network control message를 전달할 때, 이 주소를 사용한다. - 만약, 1개 물리적 포트에 Global Unicast Address와 Link-Local Unicast Address를 모두 설정한 경우라면 Global Unicast Address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Link-Local Unicast Address로 통신이 가능하다. - 1개 Link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ICMPv6를 이용한 외부에서의 공격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 IPv4의 자동 설정 IP 주소인 169.254.x.x에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됨 - FE80::/10
Unique Local Unicast Address
- IPv4에 비유하자면 Private network address(10.0.0.0 172.16.0.0 192.168.0.0) 같은 IPv6 address. - 예를 들어, 1개 회사 빌딩 내부에서의 통신, 1개 대학 캠퍼스 내부에서의 통신만 할 때 이 주소를 사용한다. - FC00::/7
예시: Global Unicast Address
(예시) Global Unicast Address
예시: Link Local Unicast Address
(예시) Link Local Unicast Address
Multicast Address
ff00::/8 - IPv6 멀티캐스트를 위한 주소공간이다. IPv4에서 제공했던 브로드캐스트는 IPv6에서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IPv6에서는 대신 멀티캐스트를 사용해야 한다.
Multicast Address 종류
Description
Solicited Node Multicast
- 이더넷 환경에서 Neighbor 탐색 과정(IPv4의 ARP 과정과 유사)에 사용 - Auto configuration 과정에서 DAD(Duplicate Address Detection) 과정을 거칠 때 사용 - Solicited Node Multicast 주소의 112비트 부분은 FF02::1:FF로 정해져 있으며 나머지 24비트는 IPv6의 최하위 24비트 부분을 차용하여 사용 (예: IPv6 주소-2001:1:1:1::1234:5678 → Solicited node multicast 주소- FF02::1:FF34:5678)
All Node Multicast
- 노드의 모든 IPv6 호스트와 라우터들이 소속되어 있는 그룹 - All node multicast주소는 FF02::1 사용
All Router Multicast
- 모든 IPv6 라우터들이 소속되어 있는 그룹 - All router multicast 주소는 FF02::2 사용
IPv6 Multicast Group
IPv6 Multicast Group
Anycast Address
Anycast 통신은 ‘1:가장 가까운 1’간의 통신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동일한 주소를 가지는 여러 목적지 장비들 중 출발지 장비와 가장 가까운 장비가 응답을 하는 통신방식이다. 이러한 통신방식은 멀티캐스트와 유사하지만 멀티캐스트의 경우 동일 그룹에 소속된 장비들이 응답을 하는 반면, 애니캐스트의 경우는 동일 주소를 가지는 장비들 중 가장 가까운 장비 하나만 응답을 한다는 차이가 있다.
Broadcast domain 또는 Network interface가 직접 연결된 Link 영역
Site-Local Scope
[ 내 생각: 실제로 이 Site-Local Scope 개념이 사용되는지 모르겠음 ]
[ 내 생각: Site-Local Address는 2004년 10월 RFC3897에서 폐기되었음. 아마 Site-Local Scope의 모호성 때문에 폐기한 것이 아닌가 추정해봄 ]
한 조직의 관리자가 관리하는 Network 영역 (예: 특정 통신사, 회사, 호텔, 정부청사 같은 영역) 네트워크 관리자가 Site-Local Scope을 설정하는 것이므로 Scope의 경계를 설명하기 애매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자가 A회사와 B호텔을 1개의 Site-Local Scope으로 지정하면, 의도하지 않게 Networking이 되는 상황이 발생
국내 IPv6 관리대행자별 IPv6 주소 목록 (2023.07.17 현재)
기관명
영문서비스명
시작주소
프리픽스
개수
할당일
에이비클
ABCLE
2001:0EF8::
/32
65536
20040524
(주)아프리카티비
AFREECATV
2406:6600::
/32
65536
20110124
(주)엘지유플러스
BORANET
2001:0270::
/32
65536
20000908
씨디네트웍스
CDNETWORKS
2401:C500::
/32
65536
20110830
(주) 씨엠비
CMBI-NETDJ
2403:6500::
/32
65536
20120326
주식회사 씨엠비영등포방송
CMBI-NETHK
2404:2300::
/32
65536
20120607
주식회사 씨엠비광주방송
CMBKWANGJUNET
2406:B000::
/32
65536
20080324
주식회사 씨엠비광주방송
CMBKWANGJUNET
2402:7000::
/32
65536
20080403
(주)다우기술
DAOU
2403:3E00::
/32
65536
20100707
디지털엣지코리아
DEK-NET
2400:FD60::
/32
65536
20230512
삼정데이타서비스(주)
DIRECT-HOSTING
2403:3700::
/32
65536
20120307
주식회사 딜라이브
DLIVE
2402:BE00::
/32
65536
20100608
드림라인(주)
DREAMX
2001:0C48::
/32
65536
20020812
두루안
DURUAN
2001:0390::
/32
65536
20020207
(주)이호스트아이씨티
EHOSTICT
2407:0B00::
/32
65536
20130529
(주)가비아
GABIA-IP
2401:9EC0::
/32
65536
20170811
한국케이블TV푸른방송(주)
GCS
2407:2000::
/32
65536
20070716
엔티티코리아 주식회사
GIN
2001:0D38::
/32
65536
20030515
하이온넷(주)
HAIONNET
2404:0800::
/32
65536
20080912
주식회사 에이치씨엔
HCN
2001:0EA0::
/32
65536
20040329
주식회사 하이라인닷넷
HINETWORKS
2407:B200::
/32
65536
20110314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HOSTWAY
2406:AD00::
/32
65536
20130410
효성ITX
HYOSUNGCDN
2407:3500::
/32
65536
20130618
인천국제공항공사
IIAC
2400:A0A0::
/32
65536
20220816
주식회사 아이네트호스팅
INET
2001:0F48::
/32
65536
20040806
JCN울산중앙방송(주)
JCN
2402:1A00::
/32
65536
20100506
주식회사 제이엔디통신
JNDINFO
2402:6100::
/32
65536
20111101
금강방송주식회사
KCNNET
2403:6300::
/32
65536
20120326
한국데이타
KDATA
2406:6800::
/32
65536
20090402
(주)한국데이터통신
KDTIDC
2405:3500::
/32
65536
20120921
(주)엘지유플러스
KIDC
2001:0ED0::
/32
65536
20040418
주식회사 케이아이엔엑스
KINXINC
2001:07FA:0008::
/48
1
20020402
주식회사 케이아이엔엑스
KINXINC
2401:2700::
/32
65536
2011061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KOREN
2407:C000::
/32
65536
2007052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KOREN
2406:D000::
/32
65536
20080204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220::
/32
65536
19991006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280::
/32
65536
20000927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2B0::
/32
65536
20010102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E60::
/32
65536
20040213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EA8::
/32
65536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001:0EF0::
/32
65536
20040524
주식회사 케이티
KORNET
2400:0000::
/20
268435456
20050601
재단법인 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
KREN
2001:0E70::
/32
65536
20040317
재단법인 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
KREN
2402:0000::
/22
67108864
200611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REONet
2001:0320::
/32
65536
20010823
(주)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
2001:0EB8::
/32
65536
20040407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LG-HELLOVISION
2405:7B00::
/32
65536
20121017
(주) 엘지씨엔에스
LG-NET
2400:3300::
/32
65536
20110407
(주)엘지유플러스
LGTELECOM
2001:4430::
/32
65536
20050706
엘엑스(IP주소 인터넷 서비스 업체)
LXN
2402:3100::
/32
65536
20111012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NBP-NET
2402:DE00::
/32
65536
20110107
(주)비트넷
NETIP
2405:5F00::
/32
65536
20121010
엔에이치엔클라우드
NHNCLOUD-NET
2405:D880::
/32
65536
20160630
남인천방송(주)
NIBDIGITAL
2407:B800::
/32
65536
20090520
피란하시스템즈
PIRANHA
2402:F400::
/32
65536
20100113
(주)엘지유플러스
PUBNETPLUS
2001:0E78::
/32
65536
20040317
삼성에스디에스(주)
SAMSUNGSDS
2001:0330::
/32
65536
20010920
삼성에스디에스(주)
SAMSUNGSDS
2404:0180::
/28
1048576
20060829
(주)에스비코리아
SBKOREACORP
2400:FDA6::
/32
65536
20230512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SHINBIRO
2001:03A8::
/32
65536
20020402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SHINBIRO
2001:0CF0::
/32
65536
20030122
SK(주)
SK-NET
2405:8600::
/32
65536
20101202
에스케이텔레콤(주)
SK-TELECOM-NET
2001:02D8::
/32
65536
20010406
에스케이텔레콤(주)
SK-TELECOM-NET
2001:0F28::
/32
65536
20040708
에스케이텔링크주식회사
SKTelink
2001:0E98::
/32
65536
20040329
케이디디아이코리아(주)
TELEHOUSE-SEOUL
2400:1800::
/32
65536
20090128
유엘네트웍스
ULNETWORKS
2405:4300::
/32
65536
20120925
주식회사 넥스지
VAAN
2402:5800::
/32
65536
20080703
주식회사 브이토피아
VTOPIA
2406:D700::
/32
65536
20130502
(주)엘지유플러스
Xpeed
2406:5900::
/32
65536
2013030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001:0290::
/32
65536
2000103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001:0378::
/32
65536
20011218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001:0EE8::
/32
65536
2004051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001:44D0::
/28
1048576
2005111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1:4000::
/32
65536
2007031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6:4000::
/32
65536
2007031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1:A800::
/32
65536
2008060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5:5800::
/32
65536
2008102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7:6500::
/32
65536
201307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7:6700::
/32
65536
201307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7:9100::
/32
65536
20130718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7:C700::
/32
65536
201308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4980::
/32
65536
2013110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4780::
/32
65536
201311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9E80::
/32
65536
201402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9F80::
/32
65536
201402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A580::
/32
65536
20140218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broadNnet
2400:E180::
/32
65536
20140415
(주)이지오스
eGIOSNET
2405:C000::
/32
65536
20070509
Linux (Ubuntu)에서 IPv6 Address 사용
IPv6 Address 설정하기 (nmcli 명령 사용)
## ip addr 명령으로 설정
## a) IPv6 주소 설정
$ ip -6 addr add 2001:db8:0:1::a00:2/64 dev enp1s0
## b) IPv6 주소 삭제
$ ip -6 addr del 2001:db8:0:1::a00:2/64 dev enp1s0
## c) IPv6 주소 확인
$ ip -6 addr show dev enp1s0
## nmcli 명령으로 설정
## a) Network device list 출력
$ nmcli dev
## b) IPv6 주소 설정
$ nmcli con mod ens0 ipv6.address 2001:db8:0:1::a00:1/64 ipv6.gateway 2001:db8:0:1::1
아래의 Network Setting 화면에서 [ VPN ] 항목 옆에 있는 + 버튼을 누르고 VPN Server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끝이다.
위와 같이 설정하고, VPN 연결을 활성화하는 버튼을 누른다.
그런데 VPN 연결을 몇시간 사용하다보면, 간혹 모르는 사이에 끊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아래와 같은 nmcli CLI 명령을 crontab에 추가하고 1시간 간격으로 자동 실행하도록 하면 편하다.
$ nmcli con up id "VPN1"
Connection successfully activated (D-Bus active path: /org/freedesktop/NetworkManager/ActiveConnection/24)
$
알아두면 좋은 명령어 예시
##
## VPN 연결 정보 조회
##
$ nmcli con
NAME UUID TYPE DEVICE
VPN1 b0838d77-ae82-4573-a15b-fba0f8884594 vpn enp4s0
Wired connection 1 bef5ca16-baca-35e4-8259-e5dbbacbe1c0 ethernet enp4s0
$
$ nmcli con down id VPN1
Ubuntu OS를 설치한 후, Network 구성을 바꿀 때 nmtui, netplan, nm-connection-editor 등 CLI 명령을 사용하면 쉽게 network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nmtui 명령
메모: 지금은 바빠서 설명을 생략. 나중에 내용을 추가할 것 !!
$ nmtui
Text Terminal에서 위 명령을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동일 Text Terminal에서 TUI가 뜬다.
nmtui 시작 화면
netplan 명령
길게 설명하는 것보다는 아래 예시를 보고 이해하고 따라하는 것이 좋을 듯 ~~~
Case A: 만약 Gnome Desktop GUI의 [ Settings ] - [ Network ] - [ Wired ] 화면에서 설정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renderer를 NetworkManager로 지정하고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으면 된다. 그러면 NetworkManager가 알아서 Physical Network Device를 찾아서 Profiling할 것이다.
Case B: 만약 Gnome Desktop GUI의 [ Settings ] - [ Network ] - [ Wired ] 화면에서 설정한 값을 무시하고 설정 파일에 있는 Network Config를 적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renderer를 networkd 로 지정한다. 그런 후에 원하는 설정을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