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buntu OS를 설치한 후, Network 구성을 바꿀 때 nmtui, netplan, nm-connection-editor 등 CLI 명령을 사용하면 쉽게 network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nmtui 명령

메모: 지금은 바빠서 설명을 생략.  나중에 내용을 추가할 것 !!
$ nmtui

Text Terminal에서 위 명령을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동일 Text Terminal에서 TUI가 뜬다.

nmtui 시작 화면

 

 

netplan 명령

길게 설명하는 것보다는 아래 예시를 보고 이해하고 따라하는 것이 좋을 듯 ~~~

 

 

Case A:
만약 Gnome Desktop GUI의 [ Settings ] - [ Network ] - [ Wired ] 화면에서 설정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renderer를 NetworkManager로 지정하고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으면 된다.
그러면 NetworkManager가 알아서 Physical Network Device를 찾아서 Profiling할 것이다.

 

$  cat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network:
    renderer: NetworkManager
    version: 2
    
$  netplan  apply

 

Case B:
만약 Gnome Desktop GUI의 [ Settings ] - [ Network ] - [ Wired ] 화면에서 설정한 값을 무시하고
설정 파일에 있는 Network Config를 적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renderer를 networkd 로 지정한다. 그런 후에 원하는 설정을 추가한다.
$  cat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network:
    renderer: networkd
    version: 2
    ethernets:
        enp4s0:
            addresses:
                - 0.0.0.0/32
        br-ex:
            addresses:
                - 10.1.3.166/24
            nameservers:
                addresses: [8.8.8.8, 8.8.4.4]
            routes:
                - to: default
                  via: 10.1.3.1
        br-ex:                  
            dhcp4: true
 
$  netplan apply

## 설정 파일(YAML)에 에러가 없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

 

 

 

nm-connection-editor 명령

SSH로 접속한 Text Terminal에서는 실행하면 안 되고, 원격 데스크탑(Remote Desktop)으로 접속했거나 Console Monitor를 사용한 경우에만 nm-connection-editor가 동작한다.

 

nm-connection-editor 시작 화면

 

 

게시물 작성자: sejong.jeonjo@gmail.com

 

 

 

반응형

CentOS 8에서 특정 Network port, NIC에 대해 IP address를 설정하려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설정 파일을 작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ens3 network interface를 설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설정 파일을 작성해야 한다.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

. . .
BOOTPROTO="dhcp"                             # 고정 IP 설정을 위해 none으로 설정
. . .
IPV6INIT="no"
IPV6_AUTOCONF="no"
IPV6_DEFROUTE="no"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 . .
ONBOOT="yes"                        # 부팅 / 네트워크 재시작 시 자동 활성화를 위해 yes로 설정
IPADDR=10.10.12.30                  # IP 설정
NETMASK=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 설정, prefix=24 설정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GATEWAY=10.10.12.1                  # 게이트웨이 설정 
DNS1=10.10.12.40                    # 1차 네임서버 설정, /etc/resolv.conf 설정파일에서 정의하셔도 됩니다.
DNS2=1.1.1.1                        # 2차 네임서버 설정

 

위 설정 파일을 저장하고 NetworkManager를 재시작한다.

$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