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년 12월 10일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분명 process가 segmentation fault 상황에서 core file이 dump되어야 하는데, 어디에도 core file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coredump와 관련한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것이니까, 아래의 내용을 보고 coredump 관련 설정이 잘 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해봐야 한다.
core dump file의 size 제한 설정이 있는지 확인
너무 큰 core dump file이 생성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core file size limit 설정이 존재한다.
(2020년대 이후로는 SSD, HDD가 충분히 커서 이런 core file size limit이 유용한지 모르겠다.)
core file이 수십개가 dump되어도 문제 없을만큼 storage가 크다면, unlimit 설정값으로 바꾸는 것을 권장한다.
## 현재 설정값 확인하는 명령.
$ ulimit -a
real-time non-blocking time (microseconds, -R) unlimited
core file size (blocks, -c) unlimited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 (내용 생략) ...
## core file size 제한을 푸는 명령 (무제한 크기로 변경)
$ ulimit -c unlimited
위와 같이 설정하면, 내 login shell 환경에만 즉시 적용되고 Linux 시스템 전체적으로는 아직도 옛날 core file size가 적용된다.
따라서 Linux 시스템 전체에 설정 값을 적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limits.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 cat /etc/security/limits.conf
(... 중간 내용 생략 ...)
* soft core unlimited
(... 중간 내용 생략 ...)
core file 이름 패턴 및 경로 설정
core file이 어느 폴더에 저장되고, 어떤 이름으로 저장될지 설정해야 한다.
$ cat /proc/sys/kernel/core_pattern
/tmp/core.%e.%p.%h.%t
각 설정값이 의미하는 것은 이렇다.
- %e 프로그램 이름 (실행 binary file name)
- %p Process ID (예: 3453)
- %h Host name (예: mynode)
- %t core file dump된 시각
위와 같이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실제로 core file이 /tmp 폴더에 dump된다.
$ ls /tmp/core.*
/tmp/core.myapp.104618.mynode.1733790395
위 파일 이름에 포함된 "1733790395" 값은 Unix time(또는 epoch time)라고 한다.
이 epoch time을 우리 눈에 익숙한 포맷으로 바꾸려면 아래와 같이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 Timezone 설정이 UTC이면, 아래와 같이 출력
$ date -d @1733790395
Tue 10 Dec 00:26:35 UTC 2024
## Timezone 설정이 Asia/Seoul이면, 아래와 같이 출력
$ date -d @1733790395
Tue Dec 10 09:26:35 KST 2024
epoch time 및 date 포맷 변경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
https://andrewpage.tistory.com/193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언어 - 가변인자 매크로 (로그 함수 매크로 예제) (0) | 2025.01.08 |
---|---|
C 언어로 작성된 Binary 파일에 Build Date 추가하기 (0) | 2024.12.17 |
gdb - 자주 사용하는 명령 옵션 (0) | 2024.12.10 |
C언어 - Thread & Mutex Lock & Condition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