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9월 17일
CentOS, RHEL, Ubuntu 등 Linux Desktop에 원격 접속할 때, 일반적으로 VNC를 사용하곤 하는데
Ubuntu 22.04, Ubuntu 24.04 버전을 사용할 때는 VNC보다는 MS-RemoteDesktop(또는 Windows App)가
좀더 화면도 예쁘고, 화면 반응도 빨라서 MS-RemoteDesktop(또는 Windows App)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방법도 간단해서 더 손이 자주 간다.
주의:
Ubuntu 24.04와 Ubuntu 22.04의 Desktop Sharing(Screen Sharing)이 앱 이름이 다르고, 설정 절차도 다르다.
- Ubuntu 24.04 에서는 Desktop Sharing 라는 이름을 사용함.
- Ubuntu 22.04 에서는 Screen Sharing 라는 이름을 사용함.
동일한 기능인데,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Ubuntu 24.04 Server 에서 Screen Sharing 설정하기
[ Settings ] -> [ System ] -> [ Remote Desktop ] 순서로 설정 메뉴를 찾아간다.
[ Desktop Sharing ] 항목을 Enable 상태로 변경한다.
[ Remote Control ] 항목을 Enable 상태로 변경한다.

Ubuntu 22.04 Server 에서 Screen Sharing 설정하기
[ Settings ] -> [ Sharing ] -> [ Screen Sharing ] 순서로 설정 메뉴를 찾아간다.
주의: MS-RD만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VNC는 활성화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Client 앱 설치하는 방법
macOS Client 에서 Remote Desktop(Screen Sharing) 설정하기
Microsoft Remote Desktop 또는 Windows Ap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Apple App Store에서
"Windows App"을 검색하여, 설치한다.

위 앱을 설치 후, Ubuntu 서버의 IP Address와 ID, Password만 입력하면 설정 끝 !!!
그런 후에 "Connect" 메뉴를 선택하면 접속이 잘 된다.
Ubuntu Client 에서 Screen Sharing (Remote Desktop) 설정하기
Ubuntu Client에는 Remmina 앱이 있어야 Ubuntu Server에 MS-RD로 접근할 수 있다.
내가 설치한 기억이 없는걸보면, OS 설치할 때 Remmina는 이미 설치되어 있던 것 같다.

위 화면과 같이 Remmina를 실행하고, 아래 화면에서 접속 정보(IP Address, ID, Password)를 입력하고 Connect하면 Ubuntu Server의 Desktop에 잘 접근된다.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ptables and netfilter (1) | 2021.07.10 |
|---|---|
| tcpdump로 HTTP Packet Decode 하기 및 tshark 사용법 (0) | 2021.07.10 |
| sudoers 설정 (암호 입력 없이 root 사용자 권한 얻기) (0) | 2021.07.10 |
| Configure DNAT(Port Forward) for KVM (to connect into VM from outer network) (0) | 2021.07.10 |
| resolv.conf on Ubuntu (0) | 2021.07.10 |